[인터뷰] 이정윤 원자력 안전과 미래 대표…'안전이 최우선' 입장 고수
“월성1호기 수로엔 ‘수문’없어 격납용기 허술…최신 안전기술기준 적용 안돼”

이정윤 원자력 안전과 미래 대표가 최근 월성1호기를 둘러싼 논쟁이 논점을 이탈했다고 질타했다. 월성1호기의 본질은 안전이기 때문에 경제성에 대한 원자력계 일부의 시시비비는 안전 문제를 덮으려는 정치쇼라고 일갈했다. <사진=안희민 기자>
▲ 이정윤 원자력 안전과 미래 대표가 최근 월성1호기를 둘러싼 논쟁이 논점을 이탈했다고 질타했다. 월성1호기의 본질은 안전이기 때문에 경제성에 대한 원자력계 일부의 시시비비는 안전 문제를 덮으려는 정치쇼라고 일갈했다. <사진=안희민 기자>

[폴리뉴스 안희민 기자]이정윤 원자력 안전과 미래 대표가 최근 불거진 월성1호기 경제성 시비에 관해 입을 열었다. 이 대표는 월성 1호기 문제의 핵심은 ‘안전’이지 경제성이 아니며 원자력계 일부가 경제성 문제를 제기하며 안전 문제를 덮으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폴리뉴스와 23일 만난 이 대표에 따르면 월성1호기는 중수로인데 2012년 계속운전을 위한 설비교체를 완료했지만 최신 안전기술기준이 적용되지 않았다. 월성1호기 운전 30년 동안 쓰리마일섬 원전사고(1979년), 체르노빌 원전사고(1986년), 후쿠시마 원전사고(2011년)가 일어나 국제 원자력계는 때마다 원전 안전기술기준을 증보했지만 월성1호기엔 반영되지 않았다는 게 이 대표의 설명이다.

이 대표는 “월성1호기는 2012년 7000억원을 들여 계속운전에 필요한 설비교체만을 한 것이지 안전성을 보강한 것이 아니다”라며 “특히 격납용기 안전기준인 R-7을 적용하지 않아 2017년 시민단체와 소송법조인단이 제기한 행정소송에서 정부가 졌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 법에도 최신 안전기술기준을 적용하도록 돼있고 그렇게 하는 것이 관례인데 적용안한 것은 국제 원자력계 시각에서도 한심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원자로엔 퓨얼채널(Fuel Channel)로 불리는 압력관 380개가 있다. 압력관마다 핵연료다발 12개가 삽입된다. 핵연료다발은 37개의 핀이 묶여 하나로 조립된다. 핵연료다발은 하나의 길이가 50cm이며 무게가 20kg이다. 원자로는 온도 300도, 기압 100bar의 고온고압 상태에서 운전된다. 압력관은 성분이 지르코늄-네오듐 합금인데 고온고압 환경에서 중성자가 조사되면 늘어나 양단 지지베어링이 이탈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월성1호기는 운전가동허용 30년이 3년 남은 2009년 수명한계에 도달해 2011년까지 압력관 전부를 교체했고 이후 1년간 가동 후 2012년 설계수명 30년이 끝났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015년 계속운전을 허가했지만 시민단체는 같은 해 월성1호기 수명연장 허가 무효소송을 제기했고 2017년 서울행정법원은 수명연장 처분 취소 판결을 내렸다. 원안위는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지만 결국 2019년 12월 월성1호기 영구정지를 승인했다.

이 대표에 따르면 월성1호기엔 2,3,4호기와 달리 폐연료봉을 꺼내는 수로에 수문이 달려있지 않고 최신 화재방호규칙이 적용되지 않았다.

이 대표는 “발전소 안전계통까지 전체를 최신 안전기술기준에 적합한 화재방호기준을 적용해야하지만 월성 1호기의 안전설계 지침엔 빠져 있다”며 “특히 격납용기 안전기준인 R-7이 적용되지 않아 월성1호기 격납용기가 허술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월성2~4호기에 최신 안전기술을 적용해 안전성을 강화했듯 월성1호기에도 그랬어야 했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월성1호기의 안전이 문제인데 원자력계 일각이 논점을 이탈했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월성 1호기가 안전상의 문제성이 있는데 원자력계 일각이 경제성 시비를 거는 건 안전 문제를 덮으려는 프레임이자 정치적인 쇼”라며 “안전 문제를 덮고 탈원전을 반대하는 정권투쟁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