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연말 전 작게 두 번” 언질, 靑 ‘개각’의 정치쟁점화 여부 경계 

[폴리뉴스 정찬 기자] 개각설이 언론과 야당을 통해 계속 제기되고 있지만 청와대는 이에 대해 어떠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내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와 맞물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의 사퇴가 예상되고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사의 표명과 재신임, 문재인 대통령의 인사청문회 제도 개선 등이 언급 등이 맞물리면서 언론의 개각보도가 본격화됐지만 청와대는 이에 대해 일절 대응하지 않는 흐름이다.

청와대는 19일 <한국일보>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최근 문재인 대통령과 독대한 자리에서 추미애 법무부장관 및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교체를 건의했다고 보도한 데 대해 출입기자단에 문자메시지로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고 곧바로 부인했다.

다만 청와대는 정세균 국무총리가 최근 김외숙 청와대 인사수석으로부터 현안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는 부분에 대해선 부인하지 않았다. 또 정 총리가 지난 10일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개각과 관련해 “개각은 작게 두 차례로 나눠 할 것”이라며 “(개각 시점은 연말 연초)보다 빠를 수도 있다”고 말한 부분에 대해서도 침묵하는 방법으로 시인했다.

이러한 청와대의 움직임을 보면 개각은 불가피하고 그 시기도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12월 초에는 1차 소폭 개각이 진행될 수 있지만 이것이 ‘정치쟁점’으로 부상되는 것을 경계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실제 야당과 보수언론들은 ‘개각’을 정치쟁점화하겠다는 내심을 감추지 않았다. 야당의 개각 초점은 서울시장 보선에 나설 것으로 보이는 박영선 장관이나 장기간 장관으로 재직해 교체대상으로 거론되는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나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등의 교체여부에는 실제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야당과 보수언론들이 타깃으로 삼는 개각 대상은 추미애 장관과 김현미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다. 야당은 일찌감치 이들 3명 장관을 교체해야 한다는 정치공세를 해왔고 보수언론 또한 마찬가지다.

추미애 장관의 경우 검찰개혁과 맞물려 윤석열 검찰총장과의 갈등문제가 전면에 부상되면서부터 이러한 야당과 보수언론의 공세는 거셌다. 추 장관 경질을 야당과 보수언론이 ‘검찰개혁 전선’의 핵심으로 보는 듯한 분위기다. 최근 추 장관의 윤 총장에 대한 감찰이 가시화되면서 이러한 분위기는 더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개각 보도에서 추 장관 교체에 대한 추측성 보도도 많아졌다.

김현미 장관에 대한 경질 및 교체보도는 부동산 대란과 맞물려 있다. 지난 6월의 수도권 집값 상승, 10월 이후에는 전세 대란 등의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지라는 요구다. 그러나 더 깊은 속내는 국토부의 부동산 대책, 임대차 3법 및 부동산 관련 세제 강화에 대한 불만에 있다. 여기에 부동산거래 감시기구 추진 등과 맞물려 부동산 기득권 세력의 반발을 반영한 측면이 더 강하다.

강경화 장관의 경우 문재인 정부 초대 외교부장관이다. 강 장관을 개각 대상으로 내세우는 데는 문재인 정부 외교정책 실패를 부각하기 위한 용도가 강하다. 이는 문재인 정부의 ‘외교 실패’를 정치쟁점으로 끌어내겠다는 뜻에 가깝다.

그러나 문 대통령이나 청와대, 민주당 내부 분위기를 보면 추 장관의 경우 서울시장 보선 출마보다는 검찰개혁 완수 쪽에 힘을 보태야 한다는 분위기고 김현미 장관의 경우에도 부동산 대책의 실효성을 높여 정부정책의 안정화를 도모해야 한다는 뜻이 강하다. 강 장관의 경우에도 정치공세에는 대응하지 않겠다는 기조다. 

이러한 흐름을 보면 정 총리의 말처럼 소폭으로 필요한 만큼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통해 개각 자체가 정치쟁점이 되는 상황을 최대한 막겠다는 것이다. 특히 야당과 보수언론이 내년 보선을 앞두고 ‘개각=문재인정부 실정’으로 몰아가려는 움직임을 경계하는 듯하다.

그러나 최근의 개각에 대한 언론의 보도를 보면 추 장관이나 김 장관 교체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 않으면서 문 대통령이 재신임한 홍남기 부총리와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나아가 정세균 총리까지 교체될 것이라는 보도도 내놓고 있다.

이처럼 ‘개각’ 보도가 갑자기 넘쳐난 배경에는 ‘추미애-윤석열’ 갈등 이후 윤석열 검찰총장의 정치적 행보에 대한 비판여론 증가, 윤 총장에 대한 감찰, 윤 총장 가족 비리에 대한 수사, 라임-옵티머스 사건에서의 검찰 내부 비리 의혹 등이 불거진 것과 무관하지 않은 듯하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