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넘어야 할 유일한 장애물, 과거문제를 미래문제와 분리 못하고 뒤섞는 것”
“북한의 ‘동북아 방역·보건협력체’ 참여, 한반도와 동아시아에 상생·평화 물꼬 트는 힘”
“100년 전 ‘파리평화회의’ 문턱서 가로막혔던 우리, 이제 G7에 초청받는 당당한 나라 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열린 제102주년 3ㆍ1절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열린 제102주년 3ㆍ1절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정찬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일 제102주년 3‧1절 기념식에서 한일관계에 대해 “양국 협력은 두 나라 모두에게 도움이 되고, 동북아의 안정과 공동번영에 도움이 되며, 한·미·일 3국 협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한일관계 개선 의지를 나타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한일관계에 대해 “과거에 발목 잡혀 있을 수는 없다. 과거의 문제는 과거의 문제대로 해결해 나가면서 미래지향적인 발전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며 이같이 밝히고 “한일 양국의 협력과 미래발전을 위한 노력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코로나 위기를 함께 극복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함께 준비해 나가야 할 때다. 이웃나라 간의 협력이 지금처럼 중요한 때가 없었다”며 “우리 정부는 언제든 일본 정부와 마주 앉아 대화를 나눌 준비가 돼 있다. 역지사지의 자세로 머리를 맞대면 과거의 문제도 얼마든지 현명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했다.

나아가 “올해 열리게 될 도쿄 올림픽은 한·일 간, 남·북 간, 북·일 간 그리고 북·미 간의 대화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 한국은 도쿄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협력할 것”이라며 “한일 양국이 코로나로 타격받은 경제를 회복하고, 더 굳건한 협력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질서를 함께 만들어갈 수 있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또 문 대통령은 과거사와 관련해 “우리는 그 역사를 잊지 못한다. 가해자는 잊을 수 있어도, 피해자는 잊지 못하는 법”이라며 “우리가 넘어야 할 유일한 장애물은, 때때로 과거의 문제를 미래의 문제와 분리하지 못하고 뒤섞음으로써, 미래의 발전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과거의 역사를 직시하면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 과거의 잘못에서 교훈을 얻는 것은 결코 부끄러운 일이 아니며, 오히려 국제사회에서 존중받는 길”이라며 과거사 문제를 한일 미래관계 발전과 연계하지 않겠지만 과거사를 직시하는 노력은 계속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한반도평화에 대해선 “우리는 미국, 중국, 러시아, 몽골과 함께 ‘동북아 방역·보건협력체’를 출범시켰다. 일본도 참여를 검토하고 있으며, 나아가 북한도 함께 참여하기를 기대한다”며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위해서도 변함없이 노력할 것이다. 전쟁불용, 상호안전보장, 공동번영이란 3대 원칙에 입각해 남북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동북아 방역·보건협력체’ 참여를 시작으로 북한이 역내 국가들과 협력하고 교류하게 되길 희망한다”며 “한반도와 동아시아에 상생과 평화의 물꼬를 트는 힘이 될 것”이라고 북한의 동북아 방역·보건협력체 참여를 거듭 희망했다.

또 문 대통령은 3.1운동과 해방 이후 좌절 극복의 역사를 언급하고 “100년 전, ‘파리평화회의’의 문턱에서 가로막혔던 우리가, 이제는 G7정상회의에 초청받을 만큼 당당한 나라가 됐다”며 “올해 G7 정상회의 참여로 우리가 이룬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모든 성취 위에서 ‘선도국가, 대한민국호’가 출발하는 확실한 이정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국제사회와의 협력 속에서 성장해왔고, 앞으로도 세계와 함께 회복하고 도약할 것”이라며 “100년 전, 우리 선조들은 이곳에서 인류 평등의 대의와 함께, 독립선언의 목적이 일본을 미워하고 배척하려는 것이 아니라 나라 간의 관계를 바로잡아 동양평화와 세계평화를 이루고자 함에 있다는 것을 선포하고, 비폭력 평화 운동을 선언했다”고 했다.

이어 “우리는 힘이 지배하는 일방적인 세계 질서 속에서, 식민주의와 전쟁으로 인류 모두가 불행해지는 시대를 넘어섰다”며 “이제 세계는 공존과 새로운 번영을 위해 연대와 협력, 다자주의 정신을 되살려야 한다. 코로나 극복은 물론, 기후변화 대응 같은 전 지구적 문제에 대해 다자주의에 입각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념식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을 감안하여 애국지사와 광복회, 독립유공자 후손 및 정부 주요인사 등 50여 명의 소규모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국민의례, △독립선언서 낭독, △헌정 공연, △독립유공자 포상, △대통령 기념사, △기념공연, △3‧1절 노래 제창, △만세삼창의 순서로 진행됐다.

국기에 대한 경례는 메이저리그(MLB)에서 활약 중인 야구선수 류현진 씨가 ‘국기에 대한 맹세문’을 영상을 통해 낭송했다. ‘독립선언서 낭독’에서는 일제강점기 시절, 세계 곳곳에서 독립을 위해 힘썼던 내‧외국 독립운동가들의 후손들을 중심으로, 장애인들을 위한 소통창구 역할을 하는 수어 통역사, 다문화 대표 연예인 등 총 7인이 함께했다.

독립선언서 낭독에 이어 세계적인 첼리스트 홍진호 씨의 헌정공연을 통해 3‧1운동의 의미를 되새겼고 3‧1절을 맞이해 총 275명의 독립유공자가 정부포상을 받았다. 포상자 중에는 홍범도 장군의 아내 고 단양 이씨와 아들 고 홍양순의 의병활동 등 공적을 새롭게 발견하여 건국훈장을 수여했다. 포상은 홍범도 장군의 생존하는 유족이 없는 상황에서 「여천 홍범도장군 기념사업회」 이사장인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해군 잠수함사령부 ‘홍범도함’에서 근무하는 여명훈 중위가 대리 수상했다.

문 대통령의 기념사에 이어 기념공연에서는 가수 정인 씨와 매드클라운, 헤리티지 합창단이 3‧1운동 당시의 독립을 향한 선조들의 결의와 의지를 시대에 걸맞게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풀어낸 곡 ‘대한이 살았다 2020’를 기념공연으로 선보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