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들 “올해 경기 전망 부정적”…부동산 보다 금융자산 선호
주식 투자 선호도 크게 상승…부동산 투자는 현 상태 유지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지난해 12월 우리나라 부자(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와 대중부유층(금융자산 1억원 이상 10억 원 미만)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 그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8일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
▲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지난해 12월 우리나라 부자(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와 대중부유층(금융자산 1억원 이상 10억 원 미만)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 그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8일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지난해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을 보유한 부자들이 주식 투자를 적극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률도 양호했다. 주식 또는 주식형 펀드에 투자한 부자 5명 중 1명은 10% 이상의 투자수익률을 거뒀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지난해 12월 우리나라 부자(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와 대중부유층(금융자산 1억원 이상 10억 원 미만)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 그 결과를 담은 ‘2020 Korean Wealth Report : 부자와 대중부유층의 자산관리 트렌트’ 보고서를 8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부자와 대중부유층은 금융자산 포트폴리오를 큰 폭으로 조정했다. 특히 주식 투자의 경우 부자의 53%, 대중부유층의 48%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투자 비중을 늘렸다.

이러한 적극적인 자산 리밸런싱으로 지난해 부자와 대중부유층은 당초 기대한 목표 수익률보다 양호한 투자수익률을 거뒀다. 일례로 10% 이상의 고수익을 거둔 부자가 23%, 대중부유층이 21%에 달했다. 이들은 대부분 고수익의 원인을 ‘주식 직접투자(49%)’와 ‘주식형펀드(13%)’로 꼽았다.

하나금융연구소가 8일 발표한 ‘2020 Korean Wealth Report : 부자와 대중부유층의 자산관리 트렌트’ 보고서 내용 일부. <사진=하나금융연구소 제공>
▲ 하나금융연구소가 8일 발표한 ‘2020 Korean Wealth Report : 부자와 대중부유층의 자산관리 트렌트’ 보고서 내용 일부. <사진=하나금융연구소 제공>


부자들 “올해 경기 전망 부정적”…부동산 보다 금융자산 선호

올해 부자와 대중부유층이 체감하는 경기 전망은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실물 경기의 경우 응답자의 61%가, 부동산 경기의 경우 52%가 앞으로 더 나빠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러한 경기 전망을 토대로 부자 51%, 대중부유층 56%는 현재의 자산 구성을 올해에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와 같은 적극적인 자산 포트폴리오 조정은 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다만 자산 포트폴리오를 조정한다면 부동산보다 금융자산 비중을 늘리겠다고 답했다. 특히 부동산 고액자산가(보유 부동산자산 50억원 이상)의 29%는 세금 부담 가중 등의 이유로 ‘부동산 비중을 줄이겠다’고 응답했다.

최근 5년간의 조사 결과를 보면, 부자들의 경우 현재 자산 구성을 유지하겠다고 답한 비중이 올해(51%)가 가장 높았다. 반대로 부동산 비중을 확대하겠다고 답한 비중은 8%로 가장 낮았다.

주식 투자 선호도 크게 상승…부동산 투자는 현 상태 유지

올해 부자와 대중부유층이 투자할 계획인 금융상품으로는 단기금융상품, 지수연계상품, 정기예금, 주식 직접투자, 외화자산(해외 주식 및 채권, 달러 등)이 꼽혔다. 이 가운데 주식 직접 투자와 주식형 펀드에 대한 부자들의 선호도(1·2·3순위 응답 통합)는 각각 12%에서 36%로, 14%에서 21%로 크게 상승했다.

이수영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부자들과 대중부유층의 관심이 부동산보다 금융자산으로 옮겨온 경향이 있다”며 “단기금융상품과 예금의 비율을 일정 부분 유지하면서, 국내 및 해외주식, 지수연계상품, 주식형 펀드 투자를 통해 적극적으로 수익을 추구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부동산 투자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새로 매입할 계획이 없다는 응답이 43%에서 56%로, 매각할 계획이 없다는 응답이 51%에서 56%로 모두 전년 대비 상승했다. 정부의 부동산 투자 규제 의지와, 부동산 관련 세금 부담이 커진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