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일 금융감독원 IT·금융정보보호단 단장. <사진=이은재 기자></div>
▲ 최성일 금융감독원 IT·금융정보보호단 단장. <사진=이은재 기자>

[폴리뉴스 송경남 기자] “4차 산업혁명시대 디지털금융 감독은 혁신과 금융안정에 초점을 맞춰 진행돼야 한다.

최성일 금융감독원 IT·금융정보보호단 단장 겸 국장은 23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 12층 서울시티클럽 컨벤션홀에서 폴리뉴스와 상생과통일포럼이 공동 주최한 제7차 경제포럼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금융’에서 패널로 참가해 이같이 말했다.

최 단장은 “4차 산업혁명의 흐름은 핀테크로 나타나고 있다”며 “기술 발전으로 초지능·초연결·대융합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금융서비스가 분해되고, 소비자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금융생태계가 변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아직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핀테크가 차지하는 비중이 제한적이지만 금융산업 구조를 변혁시킬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며 “전통은행 산업의 입지는 위축되고 금융분야별 특화서비스는 분해될 것”이라고 말했다.

핀테크(fintech)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이 결합한 서비스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를 가리키는 말이다. 여기서 말하는 기술은 정보기술(IT)이다.

온라인에서 모든 활동은 데이터를 만든다. 금융도 마찬가지다. 여기에 착안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동안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금융서비스가 선보이면서 핀테크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최 단장은 핀테크 혁신에 대한 금융회사의 대응전략도 소개했다.

최 단장에 따르면 금융회사들은 핀테크 업체 인수합병(M&A)과 자체 서비스출시 등 경쟁을 벌이면서 벤처 육성과 조인트벤처 설립 등 협업하는 이중적인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또 내부적으로는 플랫폼 비즈니스와 빅데이터 분석 역량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최 단장은 해외 선진국들의 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EU나 영국 등 해외 국가들은 디지털금융 혁신을 관망하기 보다는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우리도 규제의 불확실성 및 경직성 해소, 건전한 경쟁을 위한 진입규제 완화, 민간중심의 핀테크 생태환경 조성 등 다양한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핀테크가 발전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관리 방안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 단장은 “전자금융사고 대응체계 및 배상철차 배상 등 실질적으로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며 “기술혁신에 따른 시스템 리스크 확산 방지와 기술발전에 따른 실효성 있는 보안정책, 리스크 중심의 감독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최 단장은 “디지털금융에 대한 감독은 잠재적 리스크 예방과 혁신 친화적 감독체계 구축이라는 기조 아래 이뤄져야 한다”며 “금융산업의 경쟁과 혁신을 유도하고 금융의 중장기적 효율성 제고를 도모할 수 있는 금융 감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잘못된 혁신에 따른 시스템 리스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스크 중심의 감독도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금융회사에게는 책임과 소비자 보호에 주력할 것을 주문했다.

최 단장은 “금융회사 스스로 올바른 지배구조와 문화를 구축해야 한다”며 “특히 소비자가 안심하고 편리하게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금융당국과 금융회사 모두 소비자 보호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