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어드바이저·크라우드펀딩 등 디지털금융 이미 우리생활 곁에
플랫폼 전략은 선택 아닌 생존문제...서태종 금감원 수석부원장 기조발제

 23일 개최된 폴리뉴스 주최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금융' 포럼에서 서태종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이 기조발제를 하고 있다. <사진=이은재 기자>
▲ 23일 개최된 폴리뉴스 주최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금융' 포럼에서 서태종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이 기조발제를 하고 있다. <사진=이은재 기자>
[폴리뉴스 강준완 기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금융감독 과제는 리스크중심의 감독방안 마련과 민간자율의 보안체계 토대 구축이다.”

상생과통일포럼과 폴리뉴스가 공동주최한 제7차 경제포럼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금융’의 기조발제자인 서태종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리스크 계량평가 등을 활용한 상시감시 강화로 감독과 검사를 차별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금융감독 체계 역시 변화가 필요하다”면서 “직관과 경험에 의존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 분석을 통한 최적의 의사결정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등 신기술에 대한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혁신적인 감독기법으로 전문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서 수석부원장은 독일과 호주의 예를 들면서 지배구조와 리스크 문화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국내 금융회사가 효과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하고 적정한 지배구조를 갖추도록 IT리스크 등의 관리를 위한 지배구조와 조직문화를 평가하여 개선을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직된 규제로는 핀테크 혁신으로 인해 급변하는 리스크를 통제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입장으로 보인다. 

서 수석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금융감독 과제로 ▲원칙중심의 감독 및 규제체계의 점진적 이행 ▲책임을 수반하는 혁신 ▲금융권 개방형 플랫폼 전략 지원 등을 함께 소개했다.  

서 부원장은 “핀테크 혁신을 지속하는 동시에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며 “급변하는 금융환경에 긴 호흡으로 대처하며 원칙중심의 감독·규제체계로 점진적인 이행을 고려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금융기술의 발전이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금융당국이 모든 사항을 일일이 규제하기란 불가능하다”며 “규제사항을 위반한 행위를 기계적으로 적발하여 책임을 묻기보다는 규제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해 수립한 내부통제절차 등 과정을 중요시 하겠다”고 말했다. 

서 부원장은 “핀테크 혁신에는 항상 소비자 보호가 뒤따라야 한다”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책임을 수반하는 혁신’을 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핀테크는 금융소비자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국민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혁신의 요체이기 때문에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이 자율 영업행위 준칙을 마련하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서 부원장은 또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플랫폼 전략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강조하면서 “금융회사 스스로가 서비스 중심의 참여형 플랫폼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참여형 플랫폼 체계로 금융회사·고객·핀테크 기업간 신뢰 위에서 장기적 이익을 도모해야 할 때”라며 “현재 한정된 정보 및 기능을 제공하는 ‘제한적 생산자’의 역할에 머물러 있는 금융회사들은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은 금융회사와 핀테크 업체가 서로 윈윈하는 개방형 생태계 조성을 집중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서태종 수석부원장은 이날 포럼에서 금융감독의 과제를 주요쟁점으로 역설하면서 핀테크 시대가 이미 우리 눈앞에서 펼쳐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로보어드바이저 시스템이나 개인간 송금 간편화 서비스를 비롯해 생체인증을 통한 결제 플랫폼 ‘~~페이’ 등 핀테크는 이미 일부 소비자들에겐 친숙한 개념”이라며 “공급중심 시장체계에서 벗어나 수요가 모든 것을 결정하는 자본주의 시스템인 ‘온디맨드(On-demand) 경제’로 전환과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 변화까지 불러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 온디맨드(On-demand) 경제: 생산수단을 소유한 자가 사람을 고용하는 시대가 아닌 시간과 자원이 있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과 상호거래를 통해 자원을 공유하는 경제. 즉 공급 중심이 아니라 수요가 모든 것을 결정하는 시스템이나 전략이 뒷받침되는 경제라고 말할 수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