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강준완 기자] 정부는 지난 5일 추가경정예산 11조원 중 가장 많은 자금을 투자해 일자리 11만개를 만들겠다는 청사진을 발표했다. 

정부의 1단계 일자리 창출은 공공부문 일자리 마련과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결국 민간부문의 일자리 확산으로 이어지면서 ‘소득주도 성장’의 완성을 이루겠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이에 정부 각 부처 산하기관들은 정규직 전환 작업에 착수하기 시작했다. 인천시가 공공부문 비정규직 2096명에 대해 정규직 전환을 추진하는 등 지자체들도 정규직 전환 흐름에 올라타는 분위기다. 

금융권에서는 NH농협금융, IBK기업은행, 예금보험공사 등이 정규직 전환 프로그램 동참에 적극적이다. 이밖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은 비정규직 3만여 명의 정규직 전환 검토 작업에 들어갔다.

유통-금융-건설 등 각 분야 민간기업들도 정규직 전환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일부 대기업과 이통사, 금융사들은 이미 동참을 결정했다. 

그러나 아직 대부분의 민간기업 관계자들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대해 부담스러워하는 눈치. 고용확대나 정규직 전환 모두 회사가 자체적으로 결정해야 하며, 정부의 눈치로 도입되는 인사정책은 혼란만 부추길 뿐이란 입장이다. 

김영배 한국경영자총협회 부회장은 최근 “정규직 전환 요구로 기업들이 매우 힘든 지경”이라고 토로하자마자 문재인 대통령에게 핀잔을 들었다. “경총은 진지한 성찰과 반성이 먼저 있어야 한다.”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혼란이 없도록 큰 틀에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겠다”며 “직접고용, 무기계약직 전환, 자회사 설립 등 구체적인 방식은 공공기관장이 노조와 협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합리적 수순을 강조했다. 

결국 좋은 일자리는 성장을 통해 나온다. 친기업 정책서 창출되는 일자리도, 청년·저소득자 중심의 일자리 확보와 소득상승으로 인한 ‘소득주도성장’도 결국은 ‘성장’이란 선순환 구조를 확보해야 한다. 문재인 정부의 소통과 협치의 첫 실험으로 ‘정규직 전환’이란 과제가 급부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