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작전통제권 회수와 한미동맹은 전혀 다른 차원”

김능구 폴리뉴스 대표<사진=MBN 시사스페셜 캡쳐>
▲ 김능구 폴리뉴스 대표<사진=MBN 시사스페셜 캡쳐>

김능구 <폴리뉴스>대표는 보수야당들의 문재인 정부가 정치보복이라는 주장들에 대해 "현재 드러난 이명박 정부의 문제들은 문재인 정부가 없는 것들을 기획해서 바람몰이를 하고 인민재판을 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10월 1일 종합편성채널 MBN<시사스페셜>에 출연해 "지난 2012년 대선, 국정원이 댓글 부대를 동원한 사실을 조사하다가 국군 사이버사령부 심리전단도 2012년 총선, 대선 여론조작에 관여하고 이 과정이 국방부 장관, 대통령까지 이어졌다는 것이 문건으로 나타났다"며 "없는 적폐를 기획하고 인민재판을 한다는 것은 팩트에 입각하지 않는 정치공세"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실제로 드러난 사건들이 이명박 정부 시절 행해졌다면 이는 엄연한 헌법파괴고 국기문란 행위다"라며 "문재인 정부는 검찰에 맡겨 명명백백한 팩트에 입각해 철저히 수사해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다시 거론되고 있는 BBK 논란...명백히 밝혀져야"

김 대표는 과거의 BBK 사건이 재조명 받는 것에 대해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위원장으로 있던 당시 클린선거대책위원회는 사실 BBK 대책위원회이며 2007년 대선은 보수 측이 정권교체를 위해 총력을 기울였던 대선"이라며 "만약 BBK가 터져 연루되었다고 하면, 당시 이명박 전 대통령의 가장 큰 경쟁력이던 경제대통령의 입지가 무너지는 상황이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대선 후보들은 위기관리 전략으로 자기한테 가장 위험하고 불안한 부분들을 수년간 집중적으로 준비하는데, BBK 대책위는 장기간 전략적으로 운영되었으며 대선 때에는 클린선거대책위원회가 그 역할을 했을 것"이라며 "검찰의 2007년 12월 6일, 무혐의 불기소처분 발표가 아닌 다른 결과가 나왔을 경우를 상정한 여론조사에서는 대선 판이 큰 요동을 쳤을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그때 이명박 전 대통령을 지지했던 유권자의 80%가 BBK는 이명박이 관련돼있다고 생각한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있었다.

또한 김 대표는 "그 당시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이회창 전 총재가 다시 후보로 나와 15%를 받았었다"며 "다시 BBK가 거론되는 것을 보며 '역사에서 진실은 감춰질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 사실들이 명명백백하게 밝혀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근혜 정부 시절 잃어버린 대북 채널, 하루빨리 복원시켜야"

김 대표는 틸러슨 미 국무장관의 북미 대화채널 유지 발언에 대해 "이 발언은 국민들의 뒤통수를 쳤을 것"이라며 "지금 국제사회가 핵 도발을 한 북한에 대해 최대한의 제재 압박을 하는 상황에서 한국 대통령은 대화와 같은 미지근한 태도로 무엇을 하고 있냐는 질책을 받는 듯한 분위기였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미국은 모든 군사옵션을 동원할 듯하면서도 대화채널을 계속 열어두고 있는 상황이다. 국제 사회의 냉철함을 새삼 느낄 수 있다. 그런데 박근혜 정부는 그나마 있던 대북 채널을 다 없애버렸다"며 "문재인 정부는 북미 간의 대화에 협의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북한과의 직접적인 대화채널을 당장 복원시키고 대북특사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시작전통제권 회수와 한미동맹은 전혀 다른 차원"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전시작전통제권 조기 환수에 대해 "현재 세계에서 자주국방이 가능한 나라는 중국, 러시아, 미국뿐이고 유럽도 군사동맹으로 나라를 지킨다"며 "문재인 대통령의 전작권 조기 환수는 코미디 같은 말"이라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홍 대표의 이러한 발언에 대해 "세계에서 전시작전통제권을 가지지 못한 나라가 얼마나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며 "유럽이 미국과 나토(북대서양 조약기구)를 맺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전시작전권을 미국에 준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전시작전권 환수를 한다고 해서 한미동맹과 한미상호보호조약을 깨자는 것은 아니고, 북핵은 확장억제책에 의해 핵우산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이라며 "확장억제책과 전작권 회수는 전혀 다른 차원이기 때문에, 전작권 회수를 한미동맹 파기로 연결하는 것이야말로 언어도단"이라고 주장했다.

"화의 과정에서 고(故) 김서연 씨의 죽음이 중요했을 것"

김 대표는 고(故) 김광석 씨의 아내인 서해순 씨에 관한 의혹들에 대해 "하나의 사인증여와 유언, 이 부분에서 유언보다는 사인증여에 무게를 뒀다고 그러는데, 결과적으로 저작권료가 서해순씨 본인에게 귀속됐다"면서 "사인증여는 고 김광석 씨의 부친이 손녀 고(故) 김서연 씨와 서해선 씨의 소송 과정에서 저작권이 본인 생존 시에는 자기에게 있고, 본인 사후에는 손녀인 고 김서연 씨에게 준다고 했었다. 그런데 당시 화의 하는 과정에서 그 손녀인 고(故) 김서연 씨의 죽음이 알려졌다면 화의가 달라졌을 것이다. 그 부분이 중요한 포인트다"라고 설명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