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서예온 기자] 최근 생리대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이 화두가 됐다. 해당 물질이 여성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끼친다는 주장이 나와서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품에서 검출된 해당 물질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발표했지만, 여성들의 불안감은 여전하다. 국내를 비롯해 해외에서도 생리대 위해성에 대한 정확한 평가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은 어떤 제품을 사야할 지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정부 조사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없다보니 제품 구매 역시 망설이는 것이다. 

이 같은 불신은 그간 벌어진 소비재 안전사고에서 비롯됐다. 대표적인 사례가 가습기 살균제 사망 사건이다. 가습기살균제에 들어간 화학물질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한참 뒤에서야 알려졌다. 때문에 많은 이들이 사랑하는 가족과 친구를 잃었다. 

당시 판매된 가습기살균제는 정부 인증을 받은 제품이었다. 그러나 정부가 지정한 안전 기준을 충족시켜 시중에 유통된 가습기 살균제는 소비자들의 건강을 해쳤다. 

지금의 생리대 유해성분 논란이 제2의 가습기살균제 사태가 되지 않으리란 법도 없다. 가습기살균제에 들어간 화학물질이 많은 사람들의 건강을 해치고 목숨을 앗아갔듯 생리대 역시 많은 소비자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이 때문에 최근 정치권에서는 관련 법안을 발의하는 등 규제를 강화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규제를 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화학물질은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도 있지만 소비재 제조에 빠질 수 없는 제품이다. 지나치게 규제를 강화하면 기업뿐만 아니라 소비자 역시 불편을 겪을 수 있다.

미국은 화학물질 규제 강도가 높지 않지만 기업이 소비재 안전사고에 직접 책임져야 한다. 소비자들이 안전한 제품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노력 역시 필요하다. 규제 강도를 완화할 수 없다면 소비재 화학물질 안전사고에 대한 기업의 책임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기자수첩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