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연 2.9%에서 연 2.7%로 낮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50%로 유지하면서 11개월 째 동결했다. 그러나 이주열 한은 총재가 저금리 장기화의 부작용을 언급하는 등 금융권에선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이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50%로 유지하면서 11개월 째 동결했다. 그러나 이주열 한은 총재가 저금리 장기화의 부작용을 언급하는 등 금융권에선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이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50%로 유지했다. 지난해 11월 이후 11개월째 동결이다. 하지만 최근 이주열 한은 총재가 저금리 장기화의 부작용을 언급한 만큼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은 큰 편이다. 올해 마지막 금통위는 다음달 30일에 열린다.

한은이 18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1.50%로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해 11월 0.25%포인트 인상한 이후 11개월째 동결이다.

한은은 금통위를 마친 뒤 발표한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향후 성장과 물가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 조정 여부를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동안 계속 들어있던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신중히 판단’이라는 문구가 빠졌다. 이는 한은이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제로 이날 금통위에서는 이일형, 고승범 금통위원이 인상 소수의견을 냈다. 지난 7월과 8월 금통위에서 이 위원 1명이 인상 소수의견을 낸 데 이어 이번엔 고 위원까지 합세한 것이다.

앞서 이 총재도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지난 5일 경제동향간담회에서 그는 “금융 불균형이 누증되고 있다”며 “금융 불균형을 점진적으로 해소하는 등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금융 불균형이란 경기가 안 좋은데도 불구하고 저금리 기조에 따라 대출 등으로 시장에 유동자금이 넘쳐나는 상황을 말한다. 금융과 실물경기 간 왜곡이 심하다는 뜻이다. 이러한 유동자금이 높은 기대수익률을 제시하는 부동산과 같은 위험자산에 쏠리는 건 금융 불균형의 대표적 부작용 사례다.

당시 이 총재가 언급한 금융 불균형의 누증은 저금리 장기화로 가계부채가 늘고, 시장의 자금이 부동산으로 과도하게 쏠리고 있는 현 국내 상황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됐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한은 총재가 저금리 장기화의 부작용을 언급한 만큼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또한 이번 달과 다음 달 금통위 중 언제 금리를 인상하느냐를 두고 전문가들의 전망이 팽팽히 엇갈렸다.

그러나 한은은 일단 이번 금통위에선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기로 했다. 성장률과 물가, 고용 등 주요 경기지표 전망치를 모두 하향조정하면서 금리를 인상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이날 한은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현재 연 2.9%에서 연 2.7%로 낮췄다. 물가와 취업자수 증가폭 전망도 하향조정할 예정이다.

수출은 호조세가 지속되지만 반도체 등 특정 산업에 치중됐고, 설비투자는 6개월 연속 감소했다. 고용 지표도 악화한 데다가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아직 한은 목표(2%)와는 차이가 난다.

이에 따라 다음 달 30일에 열린 금통위에 관심이 쏠린다. 오는 12월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릴 예정인 만큼 한미 금리 차 확대에 따른 외국인 자본유출 우려도 다음 달 한은의 금리 인상 여부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이날 의결문에서 “앞으로 주요국과의 교역여건, 주요국 중앙은행 통화정책 변화, 신흥시장국 금융·경제상황,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주의 깊게 보겠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