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초청강연…"개성공단 재가동은 비핵화 조치와 연동, 현금 유입없는 방법 연구해야"
"北 취약계층 인도적 지원 추진…대북 강경론 관리"
이도훈 "대북제재 완화 전제로 한 가시적 변화 예측은 어려워"

(서울=연합뉴스) 이상현 한지훈 기자 =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11일 "최근 동향으로 볼 때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준비를 위한 회담이 조만간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이날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한반도비핵화대책특별위원회 초청 강연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모두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높은 의지를 표명하고 있는 만큼 정부로서는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이같이 내다봤다.

    강 장관은 강연 전 배포한 자료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의 전격적인 발표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언급했으나, 실제 강연에서는 이 대목을 읽지 않았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강 장관은 자료를 통해 "북한 최고지도자의 전격 방중에 이어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 김 위원장의 방러 등에 대비하면서 관련국들과 긴밀한 소통과 협의를 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강 장관은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북미 후속협상이 조속히 개최돼 북미 간 대화의 모멘텀이 유지되는 것이 무엇보다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최근 미국 내 일각에서 북미대화에 대한 회의론 등 대북 강경론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세심한 국면 관리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강 장관은 최근 김 위원장의 방중과 관련, "시진핑 주석 초청으로 북중수교 7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초 전격 방중함으로써 북중 간 긴밀한 유대 관계를 과시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2차 북미정상회담 및 김 위원장 서울 답방 등 주요 계기를 앞두고 사전 방중을 통해 한반도 문제 관련 북중 간 전략적 소통과 공조를 강화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강 장관은 "특히 김 위원장은 비핵화 의지와 전략노선 변경을 재확인하면서 북측의 '응당한 요구'에 대한 국제사회의 호응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주목했다.

    강 장관은 앞으로 한국 정부의 역할에 대해 "남북 정상 간 합의된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을 통해 남북관계 및 비핵화의 획기적인 진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외교적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국제사회와 긴밀한 소통을 토대로 북한의 취약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이 정치적 상황과 분리해 이뤄질 수 있도록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중국, 일본, 러시아 등과의 전략적 소통 강화를 통해 완전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정착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와 협조를 결집하고, 적극적인 대국민 소통과 공공외교 활동을 통해 한반도 정세 진전을 위한 우호적인 정책 추진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일각에서 불필요한 대북 강경론 등이 비등하는 일이 없도록 세심히 관리하면서,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대내외 이해를 제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위 간사인 김한정 의원은 강연 후 브리핑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은 장소가 확정되는 대로 몇 주간의 필요한 준비 절차가 완료되면 성사될 것으로 본다고 강 장관과 의원들 사이에 교감했다"고 설명했다.

    북미정상회담 장소와 관련해선 강 장관이 "우리 정부 입장에서 북미의 현장 답사 움직임에 대한 포착은 아직 없었다. 몇몇 후보지를 놓고 협의하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고 했다.

    또한 김 의원은 강 장관이 개성공단 재가동과 관련, "비핵화 조치의 진전과 연동될 것이며, 현금이 유입되지 않는 방식으로 개성공단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있는지 연구해봐야 할 것으로 본다"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이날 강연에 배석한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미국은 강경 일변도가 아닌 원칙 고수 입장이다. 다만 미국 조야에서 비핵화와 관련해 미국이 얻은 게 없지 않으냐는 분위기가 있는 만큼 대북제재 완화를 전제로 한 가시적 변화를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고 김 의원은 전했다.

    김 의원은 "우리 당 의원들은 미국 의회 내에서 상당히 제한된 한반도 전문가가 좌지우지하는 여론 조성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며 "북미 협상의 걸림돌이 되는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인 공공외교, 싱크탱크 접촉을 강화하기로 하고 외교부와 긴밀히 협의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hanjh@yna.co.kr
(끝)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