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까지 1조 4천억원 투자 예정
양천구·성동구, 서울시 스마트시티 특구 지정
박원순, “혁신들이 매일 같이 일어나게 될 것”

'스마트시티 언론좌담회'에서 말하는 박원순 서울시장 <사진=서울시청 제공>
▲ '스마트시티 언론좌담회'에서 말하는 박원순 서울시장 <사진=서울시청 제공>


[폴리뉴스 이지혜 인턴기자] 서울시는 13일 ‘스마트시티 언론좌담회를 가지고’ 도시 전역 5만개의 IoT(사물인터넷)센서를 이용, 빅데이터와 ICT(정보통신기술) 신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시티 서울’로 나아가겠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오전 서울시청 본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스마트시티 정책 소개 및 좌담회에 참석해 2022년을 목표로 총 1조 4천억원을 투자할 예정인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박원순 시장은 이 자리에서 “‘21세기의 원유’라고 불리는 빅데이터를 제대로 수집·분류·공유해서 민간 기업들과 시민들이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혁신들이 매일 같이 일어나게 될 것이다”라고 기대를 보였다. 

또한 “서울시는 이미 ‘블록체인’ 마스터플랜을 만들기도 하는 등 세계 어느 도시보다 선제적으로 나아가고 있다”라며, “시민 일상 한 가운데에 있는 도시행정, 교통, 안전, 환경, 복지, 경제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계획’을 통해서 가장 앞서나가는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 7년 간 세계도시 전자정부평가 1위로 자리매김해왔다. 열린 데이터광장, 엠보팅 (시정책 투표), 교통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올빼미버스 정책, 공공 와이파이 등 서비스를 제공해 온 데 이어, 4차혁명 핵심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정책을 소개하겠다는 시도다. 

이번 정책의 목표는 도시문제의 해결에 있다. 서울시는 빅데이터 수집을 위해 시 전역에 5만개의 IoT센서를 설치한다. 센서는 미세먼지, 소음 등의 도시현상과 유동인구 등의 시민행동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에 기존에 보유중인 행정데이터를 더해 ‘공공 빅데이터 통합 저장소’가 연내 탄생할 예정이다. 단순히 데이터 저장의 기능을 넘어서 AI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류 및 표준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울시는 센서를 이용, 주차 공간 관리, 예약 및 결제시스템을 편리하게 만드는 ‘공유주차시스템’을 선보이겠다는 계획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공기질을 모니터링하거나, 환경정화시설 가동 모니터링도 진행할 수 있다. 더불어 센서와 앱을 연결하여 독거 노인의 움직임, 실내 온도, 주거환경 등을 확인하여 시기에 맞는 건강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플러그를 활용해 전기 사용량을 모니터링하여 노인 고독사를 방지하고, 스마트 보안등을 2022년까지 2만개로 확대해 골목길 이면도로 범죄를 예방하겠다고 밝혔다. 

120다산콜센터는 딥러닝을 포함한 인공지능(AI) 기술로 시민 민원에 자동으로 응답하는 ‘챗봇’ 기능을 시범 도입한다. 

이외에 스마트 CCTV 확대를 통한 민생치안 인프라 구축뿐만 아니라 공공 와이파이 확대, 의료기관 간 정보 공유를 통한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 구축, 3D기반 ‘가상 서울’ 구축 등의 정책도 등장했다. 

서울시 ‘생활현장 스마트시티 특구’로 지정된 성동구와 양천구 역시 첨단 ICT 기술을 적용한 사업을 소개했다. 

김수영 양천구청장은 “양천구가 서울에서 인구밀도가 제일 높다”며 여러 도시문제가 발생함을 밝혔다. 이에 대한 대안을 고민하던 차에 스마트도시에 대한 준비를 시작했고, 스마트도시팀 등을 만들어 준비한 것이 ‘스마트시티 특구’로 지정된 배경이 아닐까 추측했다. 

김 구청장은 “생활 속에서 작은 문제들도 해결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로서의 면모를 서울시와 긴밀히 교류하며 (보여드리고), 양천구를 통해 (스마트도시 정책이) 전 도시로 확산됐으면 좋겠다”라며 “복지와 환경 분야에 특화해서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보여드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인구과밀로 생기는 ‘배제’의 문제, 도시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첨단기술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스마트시티를 통해서 4차 산업혁명, 신 성장동력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스마트시티’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이를 위해 성동구는 당장 적용할 수 있는 ‘적정기술’을 행정에 도입하는 것이 목표이며, 체감 가능한 정책의 예로서 현재 초등학생들의 안전한 통학을 위한 ‘통학로 리빙랩 사업’, ‘스마트 지도’를 시범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