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담보 중심 대출지원에서 직·간접투자로 혁신기업 지원
폴리뉴스 기획보도 이후 정부, 기업 각종 지원책 '봇물'

 <글 싣는 순서>

① 혁신기업의 굴레, 담보대출
② 민간투자에 목 마른 모험자본시장
③ 성패의 관건은 자금의 적기 공급
④ 최훈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 인터뷰
⑤ ‘제2의 벤처 붐’ 위해 혁신투자 늘리는 금융권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전 을지로 기업은행 본점에서 '혁신금융 비전'을 선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전 을지로 기업은행 본점에서 '혁신금융 비전'을 선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은행 등 금융회사들이 문재인 정부의 혁신성장 정책 추진에 부응하기 위해 혁신·중소·벤처기업 투자 및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국내 금융의 패러다임이 가계금융·부동산 담보 중심에서 미래 성장성·자본시장 중심으로 서서히 바뀌고 있는 셈이다.

지난 21일 금융위원회와 기획재정부, 법무부 등 정부부처는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혁신금융 비전선포식’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혁신기업에 자금을 공급하기 위한 금융정책들을 직접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오는 2021년까지 시중은행의 여신심사시스템을 부동산담보 중심에서 기업의 성장성과 기술력 중심으로 전면 개편한다. 이를 통해 혁신·중소기업·벤처기업에 100조 원의 대출을 공급할 계획이다. 기술금융 90조 원, 일괄담보대출 6조 원, 성장성 기반 대출 4조 원 등이다.

이에 더해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은 혁신금융 생태계 조성을 선도하겠다는 목표로 3~5년간 72조 원을 투입한다. 주력산업 분야 중소·중견기업엔 사업재편과 인수합병(R&D)에 필요한 돈을, 유망 서비스산업 분야 혁신기업엔 성장을 위한 돈을 지원하는 식이다.

정부는 또한 혁신기업들이 원활하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대규모 모험자본도 육성한다. 코스닥 상장 기준을 완화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 경우 투자자가 혁신·벤처기업에 투자한 자금의 회수가 원활해지고, 회수한 자금을 새로운 기업에 재투자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이와 관련해 최종구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기업 현장에서 볼 때 혁신·중소·벤처기업은 부동산 담보가 없으면 자금조달이 어렵고, 기술·4차산업 기업의 코스닥 상장 문턱도 여전히 높다”며 “신산업 분야는 실패 가능성이 커 위험을 공유·분산하는 금융시스템 역할이 부각되고 있고 성장성과 미래 잠재력에 기반을 둔 ‘인내하는 모험자본’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금융이 산업 혁신을 더 잘 이해하고 뒷받침할 수 있도록 금융시스템을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는 금융 제도뿐만 아니라 관행, 인프라, 금융감독 등 금융시스템 전반의 개선을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정부의 금융정책 기조에 발맞춰 시중은행 등 금융회사들도 혁신·중소·벤처기업 투자 및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기존에는 부동산담보 중심의 대출지원이 많았지만 점차 직·간접 투자를 늘려가는 추세다.

국내 시중 은행 가운데 정부의 혁신금융정책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 <사진=신한금융그룹>
▲ 국내 시중 은행 가운데 정부의 혁신금융정책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 <사진=신한금융그룹>


신한금융그룹은 문 대통령의 혁신금융 언급 나흘 만인 지난 25일 국내 창업·벤처·중소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신한 혁신금융 추진위원회’를 출범시켰다. 14개 그룹사와 110여개 본부부서 임직원 2000여명이 참여하며, 핵심 과제는 기업대출 체계 혁신, 혁신기업 투자 확대, 혁신성장 플랫폼 구축 등이다. 특히 혁신기업 투자에 신한금융 GIB(그룹&글로벌IB) 부문을 중심으로 5년간 2조1000억 원을 쏟을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말 투자은행(IB)그룹 내 ‘혁신성장금융팀’을 신설했다.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발굴해 소액 직접투자에 나서기 위해서다. 또한 투자한 기업이 기업공개(IPO)까지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현재 우리은행은 약 100억 원의 자금을 인공지능(AI), 바이오 등 11개 기업에 직접투자한 상태다. 연내엔 10개 기업에 100억 원을 더 투자할 방침이다. 아울러 향후 3년간 3조원 규모의 혁신성장펀드도 조성한다.

이밖에도 KB금융그룹은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는 ‘KB이노베이션허브’를 운영하며 지난 2015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56개 스타트업에 134억 원의 계열사 투자금을 연계 지원했다.

하나은행도 자사 핀테크 육성센터인 ‘1Q 애자일 랩’ 출신 스타트업에게 올해 3월 기준 34억3000만 원을 투자했다. 10억 원을 투자받은 마인즈랩이 대표적이다.

또 농협은행은 현재 4차산업 기술을 보유한 33개 기업을 선정해 엑셀러레이팅과 직접투자를 병행 중이다. 오는 29일엔 약 200억 원 규모의 디지털혁신펀드 출범을 앞두고 있다.

이에 더해 농협·신한·우리·하나·KB금융지주는 27일 문재인 정부의 혁신성장 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창업·벤처·중소기업에 대한 자금 공급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기술금융과 동산담보대출 규모를 늘리는 방식이다. 아울러 혁신기업을 위한 모험자본에 향후 5년간 28조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직접투자와 펀드조성에만 10조 원을 쏟는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을 갖고 ‘제2의 벤처 붐 확산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을 갖고 ‘제2의 벤처 붐 확산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는 최근 2000년대 전후 ‘벤처 붐’에 이은 ‘제2의 벤처 붐’ 확산을 선언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오는 2022년까지 혁신·벤처투자 규모를 연 5조 원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12조 원 규모의 스케일업(성장) 전용펀드를 조성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창업기업의 성장을 지원, 매년 20개의 유니콘 기업을 창출할 계획이다.

투자금의 선순환을 위해 인수합병(M&A) 시장 활성화도 꾀한다. 2021년까지 1조 원 규모의 M&A 전용 펀드를 신설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회수시장에 민간 참여를 늘리기 위해 공정거래법을 개정, 벤처지주회사 제도 개선 입법사항을 우선 입법하고 벤처지주회사에 창업투자회사 수준의 세제 혜택을 주는 방안도 추진된다.

이처럼 한국 경제의 신성장 동력인 혁신기업 지원을 위한 논의가 분주한 가운데, 오는 28일 <폴리뉴스>와 상생과통일포럼이 여의도 CCMM빌딩 서울시티클럽 컨벤션홀에서 ‘혁신성장의 혈관, 금융혁신의 길’을 주제로 12차 경제포럼을 공동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소득주도성장, 혁신성장, 공정경제’를 3대 축으로 ‘혁신적 포용국가’를 실현하겠다는 집권 3년차 문재인 정부의 금융정책을 살펴보고, 특히 혁신성장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금융혁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끝>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