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중국이 '조만간' 5세대 이동통신(5G) 상용화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중국이 당초 예상보다 빨리 5G 상용화에 나서기로 한 것을 두고 통신 인프라 확대를 통한 경기부양 및 화웨이 살리기를 노린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관영 신화통신은 3일 조만간 정부가 업계에 5G 영업 허가를 내 줘 자국이 '5G 원년'을 맞이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증권일보(證卷日報) 등 일부 매체는 이르면 금주 중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이 5G 영업 허가를 받을 수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한국과 미국 등지에서 잇따라 5G 상용 서비스가 시작됐지만 중국은 그간 충분한 5G 네트워크 기반을 갖추고 나서 정식 상용화에 나서겠다면서 상대적으로 느긋한 태도를 보여왔는데 태도를 바꾼 것이다.

    현재 중국은 항저우, 상하이, 광저우, 쑤저우, 우한 등 도시에서 5G 시범 서비스를 하고 있다. 이들 도시에는 각각 100개 이상의 5G 기지국이 설치돼 있다. 
    그간 중국이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 상반기 5G 상용화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많이 나왔는데 이번 발표로 시장에서는 중국이 상용화 시기를 상당히 앞당긴 것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중국이 5G 상용화 일정을 앞당긴 것을 두고 우선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 국면으로 접어든 가운데 대규모 투자 조기 집행을 통한 경기부양 효과를 노린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

    관영 통신사인 중국신문사는 "중국이 조기에 5G 영업 허가를 내주는 것은 중국 경제와 세계 경제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며 "중국에서 전통적 '강철 인프라'가 경제를 이끄는 효과가 눈에 띄게 약화한 가운데 5G 투자는 각 산업의 디지털화, 스마트 혁명을 돕고 중국 경제의 높은 질적 발전을 추동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5G 상용화는 기지국 구축 사업부터 새 스마트폰 단말기 판매에 이르기까지 관련 산업에 끼치는 영향이 크다.

    기초적인 기지국망을 기반으로 5G 상용화가 시작돼도 향후 수년간 막대한 추가 기지국 구축 투자가 단행돼야 한다.

    주요 통신사 중 차이나유니콤 한 곳만 올해 80억 위안(약 1조3천700억원)을 5G망 구축에 투입하리고 할 정도로 국토가 방대한 중국의 전체 5G망 구축 투자 규모는 천문학적이다.

    증권일보는 3대 이통사가 구축한 5G 기지국이 향후 3년 이내에 300만개, 5년 이내에 600만개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5G 통신을 체험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새것으로 교체하려는 소비자들도 늘어나게 된다.

    미중 무역전쟁의 충격파 속에서 스마트폰 등 전자업계는 자동차 업계와 더불어 가장 큰 피해를 보고 있다.

    중국에서 스마트폰 판매가 부진한 가운데 5G가 상용화하면 업계는 이를 대대적인 판촉 기회로 활용할 전망이다.

    중국정보통신연구원은 2025년까지 5G 산업 발전에 따른 직접적인 경제 산출액이 10조7천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연구원은 또 5G 산업 발전 덕분에 일자리 300만개도 새로 만들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개별 기업 차원에서는 통신장비 제조사인 화웨이(華爲)가 가장 직접적인 수혜 대상이 될 전망이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중국의 조기 5G 상용화 계획에 미국의 전방위 압박에 고사 위기에 직면한 화웨이 살리기를 위한 의도가 반영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세계 최대 통신장비 업체인 화웨이는 이미 진행 중인 중국 5G 기지국 구축 사업에서 가장 많은 물량을 따내고 있다. 
    화웨이는 또 미국과의 갈등 고조 속에서 '애국 소비' 열풍에 힘입어 향후 자국 내 5G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선전할 가능성이 크다.

    스마트폰 업계 세계 1위인 삼성전자의 중국 시장 점유율이 극히 미미하고, 애플이 아직 5G 스마트폰을 출시하지 못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