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를 위한 일에 헛된 죽음은 없다, 보훈은 아픈 역사 되풀이 하지 않겠다는 다짐”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현충탑에 분향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현충탑에 분향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6일 제64회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애국 앞에 보수와 진보가 없다”며 “(국가공동체 운명보다) 기득권에 매달린다면 보수든 진보든 진짜가 아니다”고 역설했다. 진보·보수의 이념적 가치보다 ‘애국’에 우선적 가치를 부여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해 “기득권이나 사익이 아니라 국가공동체의 운명을 자신의 운명으로 여기는 마음이 애국”이라며 이같이 진보와 보수 가치도 ‘애국’에 복무해야 된다는 뜻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우리에게는 사람이나 생각을 보수와 진보로 나누며 대립하던 이념의 시대가 있었다. 하지만 오늘의 대한민국에는 보수와 진보의 역사가 모두 함께 어울려 있다. 지금 우리가 누리는 독립과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에는 보수와 진보의 노력이 함께 녹아 있다”며 “저는 보수이든 진보이든 모든 애국을 존경한다”고 거듭 ‘애국’의 가치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제 사회를 보수와 진보, 이분법으로 나눌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 우리는 누구나 보수적이기도 하고 진보적이기도 하다”며 “어떤 때는 안정을 추구하고, 어떤 때는 변화를 추구한다. 어떤 분야는 안정을 선택하고, 어떤 분야는 변화를 선택하기도 한다”고 보수와 진보는 상황에 따른 선택의 문제로 바라봤다.

이어 “스스로를 보수라고 생각하든 진보라고 생각하든 극단에 치우치지 않고 상식의 선 안에서 애국을 생각한다면 우리는 통합된 사회로 발전해갈 수 있을 것”이라며 “그것이야말로 이 시대의 진정한 보훈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이념적 잣대 때문에 독립운동에 헌신한 약산 김원봉 선생 등과 같은 인물이 유공자로 지정되지 않은 문제를 시정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또 문 대통령은 “나라를 위한 일에 헛된 죽음은 없다. 나라를 위한 희생은 공동체가 함께 책임져야 할 명예로운 일이다. 오늘의 우리는 수많은 희생 위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보훈은 바로 이 소중한 책임감에서 출발한다”며 “우리의 보훈은 아픈 역사를 다시는 되풀이 하지 않겠다는 다짐”이라고 보훈이 국가의 기틀임으로 강조했다.

아울러 “어떤 일이 있어도 조국은 나를 기억하고 헌신에 보답할 것이라는 확고한 믿음에 답하는 것이 국가의 의무”라며 “오늘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저는 다시 애국을 되새기며, 국가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과 유족들게 국가의 의무를 다할 것”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임시정부가 창설한 광복군이 1945년 미국 전략정보국(OSS)과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했다면서 “통합된 광복군 대원들의 불굴의 항쟁의지, 연합군과 함께 기른 군사적 역량은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되고, 나아가 한미동맹의 토대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년을 맞은 뜻깊은 날 미국 의회에서는, 임시정부를 대한민국 건국의 시초로 공식 인정하는 초당적 결의안을 제출했다”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이 한국 민주주의의 성공과 번영의 토대가 되었으며, 외교, 경제, 안보에서 한미동맹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는 점을 얘기했다.

또 “내년은 한국전쟁 70주년이 되는 해다. 유엔의 깃발 아래 22개국 195만 명이 참전했고, 그 가운데 4만여 명이 소중한 목숨을 잃었습니다. 이 땅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가장 큰 희생을 감내한 나라는 미국”이라며 “정부는 2022년까지 워싱턴 한국전쟁 기념공원 안에 ‘추모의 벽’을 건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공무원 재해보상법’ 제정, 순직 군인들을 위한 ‘군인재해보상법’ 제정 추진, 군 복무로 인한 질병이나 부상을 끝까지 의료지원 받을 수 있도록 ‘병역법’ 개정 추진, 해외 독립유공자 유해봉환 추진, 독립유공자와 유족, 참전용사와 상이군경, 민주화운동유공자와 특수임무부상자 등 40여만 명의 집에 명패 달기 사업 등 보훈정책들을 설명했다.

보훈 의료 인프라 확충과 관련 올 10월 괴산호국원을 개원, 제주국립묘지 2021년 개원 계획, 수유리 애국선열 묘역과 효창공원 독립유공자 묘역 등에 대한 국가 체계관리, 무연고 국가유공자 묘소 국가 관리, 국가유공자가 생전에 안장 자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사전 안장심사제도 도입, ‘보훈심사 시민참여제도’ 법제화 등도 얘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0년, 우리는 식민지를 이겨냈고 전쟁의 비통함을 딛고 일어났으며 서로 도와가며 민주주의와 경제성장을 이뤄냈다. 그 길은 결코 쉽지 않은 길”이라며 “미래로 나아가면서도 과거를 잊지 않게 부단히 각성하고 기억해야 한다. 우리 자신의 뿌리가 어디에서 왔는지 되새기며, 어디로 나아가고 있는지 통찰력을 가지고 바라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가슴에는 수많은 노래가 담겨있다. 조국에 대한 노래, 어머니에 대한 노래, 전우에 대한 노래, 이 노래는 멈추지 않고 불릴 것”이라며 “우리에게 선열들의 정신이 살아있는 한 대한민국은 미래를 향한 전진을 결코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당신을 기억합니다’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된 올해 추념식에는 국가유공자와 유족, 각 정당 대표 등 각계대표, 시민, 학생 등 1만여 명이 참석했다. 추념식에는 해외에 유해가 안장돼 있다가 최근 국내로 봉환된 독립유공자 유족과 비무장지대(DMZ) 화살머리고지 등에서 유해가 발굴된 6·25 전사자 유가족들이 주빈과 함께 입장했다.

추념식에서는 올해 유해가 발굴돼 신원이 확인된 고(故) 김원갑 이등 중사, 박재권 이등 중사, 한병구 일병 등 세 명의 6·25전사자 유가족에게 국가 유공자 증서가 전달됐다. 박재권 이등 중사는 비무장지대(DMZ) 내 화살머리고지에서 시작된 남북 공동 유해 발굴 작업을 위한 지뢰제거 작업 과정에서 국군전사자 유해로는 처음으로 발굴돼 대전현충원에 안장됐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