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윤청신 기자]

부마항쟁에 대한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부마항쟁은 1979년 10월 16일 부산과 마산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박정희 정권과 유신체제에 저항해 벌어졌던 민주화 운동을 말한다.

당시 외채 위기 속에서 수출 증가율이 급락한 가운데 극심한 지역경제 침체로 대량해고와 임금체불이 진행됐고, 야당인 신민당 김영삼 총재의 제명에 대한 시민의 분노가 민주화 시위로 증폭됐다.

박정희의 유신체제는 1979년 들어서도 각종 시국사건에 대해 강압적으로 반정부 인사들에 대해 체포ㆍ연금ㆍ구금한다.

같은 해 5월 3일 '민주회복'을 목표로 한 김영삼(金泳三)이 신민당 총재로 당선되자 박정희는 김영삼 의원직 제명(除名) 안을 변칙으로 국회를 통과시켜 김영삼의 의원직 박탈 등의 일련의 사건으로 유신체제에 대한 야당과 국민의 불만이 극에 달한다.

이후 10월 15일 부산에서, 부산대학에서는 민주선언문이 배포되고, 16일 5,000여 명의 학생들이 시위를 주도하고, 시민들이 합세하여 대규모 반정부시위를 벌인다.

시위대는 16일과 17일에도 '유신체제타도'와 '정치탄압중단' 등의 구호를 외치며 파출소ㆍ경찰서ㆍ도청ㆍ방송국 등을 공격하고, 18일과 19일에는 마산과 창원으로 시위가 확산된다.

10월 20일 정부는 마산과 창원 일원에 위수령을 발동하여 505명을 연행하고 59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한다.

이후 부마사태의 수습책 문제로 정부 내부의 분란이 야기됐으며 이는 김재규 중앙정보부 부장이 박정희 전 대통령을 살해하는 10.26사태의 계기가 됐다.

10월 26일에는 부마사태의 수습책을 둘러싼 대통령경호실장 차지철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는 격렬한 언쟁을 벌이고 도중 김재규는 차지철과 박정희를 권총으로 살해하여 박정희의 유신체제는 종말을 맞는다.

3.15의거와 4.19혁명의 정신을 계승하고 유신 독재에 대한 항거를 통해 국민주권과 민주헌정 질서를 회복하고자 했으며, 박정희 유신독재 체제를 무너뜨리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이러한 점에서 민중항쟁사에 한 획을 그었다는 평을 받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