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동산 규제로 힘든 ‘국내’, 수주 실적 부진 ‘국외’
전문가 “해외 신사업 진출, 국내 산업 다양화” 강조

서울 지역 아파트 단지 모습. 정부의 분양가 상한제 예고로 일부 재건축 사업의 추진이 불명확해졌다. <사진=연합뉴스>
▲ 서울 지역 아파트 단지 모습. 정부의 분양가 상한제 예고로 일부 재건축 사업의 추진이 불명확해졌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노제욱 기자] 분양가 상한제 등 정부의 잇단 부동산 규제와 해외 수주 부진 등으로 인해 건설사들은 일자리를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 업계에서는 건설경기가 국내외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만큼 새로운 일감 확보가 필요해 보인다.

먼저 국내 상황을 보면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를 비롯해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가 통제 강화 등 정부가 여러 부동산 규제를 잇달아 내놓으면서 주택 시장이 한껏 위축됐다.

건설사들의 올해 2분기 신규주택 수주 총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2% 줄어든 9조4992억 원으로 집계됐다. 2분기 기준 지난 2014년(9조1009억 원) 이후 5년 만에 가장 작은 수치다.

신규주택 수주액은 2017년 1분기 16.6% 전년 대비 감소한 이후 8개 분기 연속 감소하다가 올해 1분기에 12.7% 증가로 돌아섰지만 지난 분기에 다시 감소했다.

재건축·재개발사업이 이처럼 부진한 주택 사업의 매출을 어느 정도 보완하는 모습이었다. 올 2분기 재건축 수주액은 1년 전보다 144.6% 증가한 2조273억 원, 재개발은 15.9% 늘어난 3조5467억 원이었다. 이 때문에 2분기 전체 주택 수주액은 1년 전보다 0.8% 증가한 15조732억 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정부의 분양가 상한제 예고로 인해 대폭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의 ‘3기 신도시’ 발표로 건설사 입장에서 일감이 생긴 것임에도 마냥 좋아할 수만은 없었다. 3기 신도시 발표로 인해 입지여건이 상대적으로 안 좋은 2기 신도시에서 미분양이 날 경우 그 손해는 수주한 건설사가 떠안게 될 것이기 때문이었다. 또 정부가 규제 일변도 정책을 계속 고집한다면 3기 신도시의 흥행마저도 장담하기 힘들다는 입장이었다.

실제로 2기 신도시인 검단이 포함된 인천 서구는 지난 6월 기준 미분양 주택이 2600가구로 6개월 새 8배나 급증한 수치를 나타냈다. 다른 2기 신도시인 양주 옥정, 파주 운정 또한 상황이 안 좋기는 마찬가지다.

해외로 눈을 돌려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8월 28일 기준 해외건설 수주금액은 137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무려 32% 감소한 수치를 기록했다.

저유가 추세가 이어지며 전통적인 수주 텃밭인 중동 지역에서의 ‘대형 공사’ 발주가 줄었고, 금융 지원을 받는 중국 기업들에게 밀린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해외 플랜트 사업 등에서 대규모 손실은 입은 기업들이 수주를 꺼리는 것도 하나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국내외 상황 등으로 건설사들은 일자리를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결제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상위 10대 건설사들의 2분기 직원 수(미등기임원 및 기간제 근로자 포함)는 총 5만5462명이다. 지난해 12월 5만6282명, 올 1분기 5만5713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국면을 타개하기 위해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 회장(경인여대 교수)은 건설사들이 신사업 발굴 및 사업 다각화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서 회장은 해외 신사업 진출, 국내 산업의 다양화 등을 강조했다.

서 회장은 “해외 신사업 진출 같은 경우는 해외에서 토목 산업, 주택 건설, 신도시 건설 등에 도전하는 것이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내 산업의 다양화도 필요한데 지금은 단순 개발·공급으로만 이뤄지는 산업 대신 임대주택산업이나 부동산관리산업에 진출한다던지 아니면 자산관리회사로 변모하는 등의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