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오스 정상회담 예정, 文 미얀마 떠나며 “미얀마의 가능성 만났다”

동남아 3국을 순방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5일 오후(현지시간) 라오스 와타이 국제공항에 도착했다.[사진=연합뉴스]
▲ 동남아 3국을 순방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5일 오후(현지시간) 라오스 와타이 국제공항에 도착했다.[사진=연합뉴스]

미얀마 방문을 마무리한 문재인 대통령은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오전(현지시간) 마지막 순방지인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에 도착했다. 지난 2017년 대통령 취임 후 약속한 아세안 10개국 방문의 마침표를 라오스에서 찍었다. 

한국 대통령이 라오스를 처음 국빈 방문하는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에 분냥 보라치트 대통령과 한·라오스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여기서 논의할 한-라오스 교류협력 방안 중 핵심은 수력발전 분야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청와대에 따르면 라오스는 메콩강 최장 관통국으로 수자원이 풍부해 ‘동남아의 배터리’로 불린다. 메콩은 중국, 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및 베트남 6개국을 지나는 국제하천으로 풍부한 유량과 강한 유속이란 천혜적 이점을 바탕으로 수력발전이 용이해 메콩을 따라 이미 운영 중이거나 건설 예정인 수력발전용 댐은 총 212개에 이른다.

메콩의 가장 긴 구간이 통과하는 국가로, 총 4,909km 중 1,835km가 통과하며 메콩 유역의 25%, 유량의 35%를 차지하는 라오스는 수력발전을 산업의 근간으로 삼고 있다. 라오스 정부는 61개 수력발전소를 운영하며, 생산된 전력의 65%를 태국을 비롯한 주변국에 수출하고 있다.

청와대는 또 문 대통령의 라오스 방문을 계기로 한국형 농촌발전 모델을 토대로 한 농촌공동체 개발 지원사업 확대를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 70%가 농민인 라오스 정부는 2012년부터 ‘삼상정책’이라는 지방개발정책을 펴고 있다. 삼상정책의 요지는 주, 군, 마을을 중심으로 자체적으로 개발전략을 수립하고, 중앙부처의 사업이행 권한을 지역 단위로 이양하는 것이다.

한국 정부는 삼상정책의 취지에 부합하는 라오스의 농촌공동체 개발 사업을 지원해왔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 무상원조 사업을 통해 농촌개발전략 수립을 도왔고 인프라 및 교육 등을 제공해왔다. 코이카의 지원으로 건립된 한-라 농촌개발연수원은 농촌개발 및 농업기술 교육 훈련의 요람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아울러 한-라오스 정상회담에서 ICT(정보통신기술) 분야 협력 MOU(양해각서) 등을 비롯한 양국 간 협력의 제도적 기초와 관련한 합의도 추진하고 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라오스 방문 기간에는 메콩 강변에서 한-메콩 파트너십을 한층 더 발전시키기 위한 한국 정부의 의지를 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올해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에 협력해달라고 당부할 예정이다.

앞서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미얀마 양곤을 떠나면서 페이스북에 “양곤 인근에 건설될 경제협력산업단지는 빠르게 성장 중인 미얀마 경제에 가속을 붙이고 우리 기업들에게도 새로운 기회를 선사할 것입니다. 한국의 경험과 미얀마의 가능성이 만났다. 우리는 닮은 만큼 서로 신뢰하는 동반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1983년 아웅산 순직자 묘역 방문과 관련 “아웅산 묘역에는 35년이 지난 지금까지 잊을 수 없는 아픔이 남겨져 있다. ‘대한민국 순국사절 추모비’에 헌화하며 북한의 폭탄테러로 희생된 우리 외교 사절단을 기리고, 유가족들의 슬픔을 되새겼다”며 “우리가 온전히 극복해야 할, 대결의 시대가 남긴 고통이 아닐 수 없다”고 얘기했다.

아울러 “따뜻하게 맞아주신 미얀마 국민들과 우 윈 민 대통령님, 도 아웅산 수찌 국가고문님께 감사드린다. 이제 ‘한강의 기적’은 ‘양곤강의 기적’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우리 국민 여러분, 태풍에 잘 대비하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