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현지시간) 영국 하원에서 보리스 존슨 총리(가운데)가 취임 후 첫 번째 '총리 질의응답'에서 답변하고 있다. 영국 하원은 이날 오후 영국이 아무런 협정을 맺지 못하고 EU에서 탈퇴하는 '노 딜'(no deal) 브렉시트를 막는, 이른바 유럽연합(탈퇴)법을 가결한 데 이어 존슨 총리의 조기 총선 동의안을 찬성 298표, 반대 56표로 부결했다. <사진=연합뉴스>
▲ 지난 4일(현지시간) 영국 하원에서 보리스 존슨 총리(가운데)가 취임 후 첫 번째 '총리 질의응답'에서 답변하고 있다. 영국 하원은 이날 오후 영국이 아무런 협정을 맺지 못하고 EU에서 탈퇴하는 '노 딜'(no deal) 브렉시트를 막는, 이른바 유럽연합(탈퇴)법을 가결한 데 이어 존슨 총리의 조기 총선 동의안을 찬성 298표, 반대 56표로 부결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보전 기자] 지난 3년간 영국에서는 3명의 총리가 바뀔 만큼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좀처럼 사건을 진전시키지 못하고 있다. 2016년 유럽연합 탈퇴를 결정하고 영국이 좀처럼 유럽연합을 나가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간의 브렉시트 과정을 추적하는 기획기사를 연재한다. 

‘노딜(no deal)’불사냐 연기냐, 영국 브렉시트 두고 혼란가중

유럽연합 탈퇴를 외치던 보리스 존슨은 최근 총리에 취임한 이후에도 ‘노 딜(no deal)’을 불사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총리 취임 후 그가 추진한 노딜 브렉시트와 10월 15일(현지시간) 조기 총선 제안이 모두 좌절됐다. 

총리의 ‘노딜(no deal) 브렉시트’ 계획이 영국 하원에 의해 저지된 것이다. 노딜 브렉시트를 막으려는 야당과 보수당 내 반대파 의원들이 4일(현지시간) 브렉시트 의사 일정 주도권을 존슨 총리로부터 가져온다는 내용의 법안을 통과시켰다. 법안은 10월31일(현지시간) 예정된 유럽연합(EU) 탈퇴를 다시 3개월 연기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 법안이 상원에서 통과하고 여왕의 재가까지 마치면 법적 효력을 갖게 된다. 존슨 총리는 이 법안이 2016년 국민투표 결과를 뒤집는 것이라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노딜 브렉시트는 영국이 유럽연합을 탈퇴하면서 아무런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탈퇴하는 것을 말한다. 4일 통과된 노딜 사태를 방지하는 법안은 영국 정부가 오는 10월 19일까지 EU와 합의에 성공하거나,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다시 브렉시트에 대한 의회 승인을 얻도록 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둘 다 실패하면 영국 총리는 브렉시트를 2020년 1월 31일까지 3개월 추가 연기한다는 서한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에 보내야한다. 

브렉시트가 드러낸 분열된 왕국(disunited, divided kingdom)

브렉시트 찬반 여론은 애초부터 우위를 가를 수 없을 정도로 팽팽했다. 2016년 6월 23일 실시된 국민투표 당일 도박사들의 예측도 결국 잔류로 끝날 거란 전망이 앞섰다. 하지만 결과는 탈퇴 51.9%(1741만742표), 잔류 48.1%(1614만1241표)로 탈퇴 측의 승리였다. 

영국의 주요 매체들은 선거 결과를 두고 ‘분열된 왕국(divided kingdom)’이라고 표현했다. 브렉시트는 영국사회의 분열을 고스란히 드러냈기 때문이다. 세대별, 연령별, 계층별, 교육수준, 지역별로 찬성과 반대 여론이 뚜렷하게 구분됐다. 이러한 인구통계학적 분류 외에도 다문화, 세계화, 이민같은 이슈별로 국민들의 의견차가 드러났다. 국민투표 이후 3년이 지났지만 유럽연합과의 협상도 국내 정치적 합의도 이루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바로 분열된 여론을 하나로 이끌어내지 못함에 있다. 

이렇듯 브렉시트를 두고 국민들의 의견이 양극단으로 갈리는 이유는 유럽연합으로 수혜를 보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이 서로 구분되기 때문이다. 특히 유럽연합이 주는 이점인 ‘재화와 서비스 그리고 노동력의 자유로운 이동’은 특정 집단에는 이익이지만 다른 집단에는 오히려 삶을 어렵게 하는 요인일 수 있다.

가령 저임금 노동자는 유럽연합이 가져온 노동시장 개방으로 인해 폴란드를 비롯한 동유럽의 이주 노동자들과 임금 경쟁을 해야 한다. 반면 잔류 진영에 펀딩한 영국의 저가 항공사 이지젯(Easy Jet) 같은 글로벌 기업은 유럽연합이 주는 자유로운 이동 조약을 십분 이용해 사업을 확장시킨 대표적인 회사다.

지역별로도 마찬가지다. 스코틀랜드는 영국의 다른 지역보다 유럽연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많은 보조금을 받는 쪽에 속해 잔류를 택했다. 반면 이민자와 난민에 반감이 강한 공업지대나 보조금을 주는 쪽에 속하는 잉글랜드와 웨일즈에선 탈퇴 의견이 앞섰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