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내 자율주행 제도 완비…2027년 완전자율주행 세계 최초 상용화
2030년 친환경차 판매 33% 달성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후 경기도 화성시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미래차산업 국가비전 선포식이 끝난 뒤 수출형 수소트럭 및 수소청소차를 최초 공개하는 제막을 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문 대통령,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사진=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후 경기도 화성시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미래차산업 국가비전 선포식이 끝난 뒤 수출형 수소트럭 및 수소청소차를 최초 공개하는 제막을 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문 대통령,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기율 기자] 정부가 향후 10년 우리 미래차 산업이 나아갈 ‘3대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관련 제도와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마련해 미래차 산업생태계로의 신속한 전환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15일 경기 화성시에 있는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미래자동차 비전선포식’을 열고 ‘2030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선포식에 앞서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전 세계 생산 7위의 자동차 강국인 우리에게 미래차 전환은 자동차산업이 크게 도약하고 산업전반의 혁신동력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정부는 미래차 산업 ‘3대 추진전략’으로 ▲친환경차 기술력과 국내보급 가속화를 통한 세계시장 적극 공략 ▲2024년까지 완전자율주행 제도·인프라 세계 최초 완비 ▲민간투자(60조 원) 기반 개방형 미래차 생태계로 신속 전환 등을 제시했다.

우선 2030년 전 차종에서 친환경차를 출시해 국내 신차 비중을 33%로, 세계시장 점유율을 10%로 높이겠다는 목표다. 올해 전기·수소차 판매 비중은 2.6%다.

친환경차 인프라의 핵심인 충전소의 경우 수소충전소는 2030년 660기, 전기충전기는 2025년 1만5000기를 각각 구축한다. 2030년에는 주요 도시에서 수소충전소까지 20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시점을 기존 2030년에서 2027년으로 앞당긴다.

2024년까지 완전자율주행을 위한 성능검증·보험·운전자 의무 등 관련 제도를 도입하고 통신시설, 정밀지도, 교통관제, 도로 등 4대 인프라도 완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27년 주요도로에서 운전자 개입이 필요 없는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 한다는 방침이다.

자율주행 서비스를 확대해 공공부문에서 장애인 등 교통약자 이용지원, 자율주행 무인순찰 등을, 민간에선 자율셔틀·자율택시·화물차 군집주행 등 9대 서비스를 실시한다.

새로운 교통서비스를 위해 2025년 플라잉카를 실용화하고 단계적으로 확산한다. 정부는 기술개발 및 법제도 정비 등으로 플라잉카를 실증·시범사업이 가능한 단계까지 지원한다.

정부는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미래차 산업생태계로의 신속한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를 위해 부품기업 중 전장부품 기업 비중을 올해 4%에서 2030년 20%까지 늘릴 계획이다.

부품기업의 전환을 돕기 위해 설비투자, 유동성 추가지원 등 2조 원 이상 자금을 공급하고 연구·현장인력 2000명을 양성한다. 해외 완성차업체와의 공동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이를 통해 미래차 핵심소재·부품 자립도를 현재 50%에서 80%까지 높일 계획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이 15일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에 대한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을 하고 있다. 성 장관 왼쪽은 김경욱 국토교통부 2차관.<사진=연합뉴스>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이 15일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에 대한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을 하고 있다. 성 장관 왼쪽은 김경욱 국토교통부 2차관.<사진=연합뉴스>

정부는 완성차 및 부품업계와 통신·소프트웨어·반도체 업계, 자동차 관련 노조, 학회 등과 의견을 조율해 이번 전략을 마련했다.

글로벌 시장의 경쟁구도가 끊임없이 변하는 가운데, 주요국과 글로벌 기업이 현재 같은 출발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만큼 우리 강점을 활용해 빠르게 대응하면 미래차 경쟁력 세계 1위도 가능하다고 정부는 내다봤다.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차 성능과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 보유국, 반도체 기술기반을 활용한 핵심부품 국산화 등이 강점으로 꼽힌다.

다만 미래차 시장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워낙 경쟁이 치열하고 불확실성도 그만큼 크기 때문에 정부는 컨트롤타워 격인 ‘미래차 전략회의’를 신설하고 차·부품·정보기술(IT) 업종 간 ‘얼라이언스’와 노사정포럼을 적극 활용해 대처할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미래차 전략은 민간의 투자에 정부가 화답하는 방식으로 그만큼 리스크도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지금까지 선진국 추격형(fast follower, 패스트 팔로워)에서 선도자(first mover, 퍼스트 무버)가 되려면 감수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