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서울 송파구 아파트 부동산중개업소에 가격을 낮춘 매매 물건이 표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 2일 서울 송파구 아파트 부동산중개업소에 가격을 낮춘 매매 물건이 표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이은주 기자] 비유동성 자산이 급증하면서 사모펀드 구조의 핵심 리스크로 지목되고 있다. 

지난 2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전체 사모펀드 설정액 중 기초자산이 비유동성 자산인 사모펀드 설정액 비중이 처음으로 절반을 넘겼다. 비유동성 자산을 기초 자산으로 삼는 펀드에는 부동산‧실물‧특별자산 펀드 등이 있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체 사모펀드 설정액이 2008년 말 126조 5564억 원에서 2019년 말 412조 4090억 원으로 3배 이상으로 불어난 가운데, 부동산 펀드 설정액은 같은 기간 7조3506억 원에서 95조 1146억 원으로 약 13배 증가했다.

인프라·선박·유전 등에 투자하는 특별자산 펀드 설정액도 8조9521억 원에서 89조 9598억 원으로 10배 가까이 늘었다.

<사진=픽사베이> 
▲ <사진=픽사베이> 

비유동성 자산 펀드는 저금리 환경에서 대체투자가 새롭게 주목받으면서 투자 규모가 급격히 늘어났다. 그러나 유동성이 떨어지는 자산에 투자하면서 상당수 펀드를 중도 환매가 가능한 개방형으로 판매한 결과, 자산 유동성 문제가 리스크로 불거졌다. 비유동성 자산에 투자하는 개방형 펀드는 갑자기 많은 투자자들이 환매를 시도하면 자산의 안정성에 위험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성에 문제가 발생한 사모펀드를 중심으로 경고음이 울리면서 유동성 관리에 초점을 맞춰 펀드 규제를 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송홍선 자본시장연구원 펀드·연금실장은 “사모펀드가 급성장하고 저금리에 따른 대체투자도 확대됨에 따라 해외에서는 시스템 리스크 관리 목적의 펀드 유동성 리스크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라면서 “글로벌 논의를 참고해 국내에서도 규제 목적에 부합하는 유동성 리스크 관리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