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주성 진성철 기자 = 서울 종로에 출마하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낙연 전 총리가 지난 2월 10일 종로구민회관을 찾아 주민과 인사하고(왼쪽), 미래통합당 황교안 대표가 하림각에서 열린 핵심당원 간담회에서 참석자와 인사하고 있다. 2020.2.10
▲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진성철 기자 = 서울 종로에 출마하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낙연 전 총리가 지난 2월 10일 종로구민회관을 찾아 주민과 인사하고(왼쪽), 미래통합당 황교안 대표가 하림각에서 열린 핵심당원 간담회에서 참석자와 인사하고 있다. 2020.2.10

총선이 50여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선거분위기는 크게 달아오르지 않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과 그에 따른 경기침체로 총선에 대한 관심이 높지 않다. 그럼에도 주목받고 있는 지역은 잠룡들로 불리는 인사들이 대결을 벌이는 곳이다. 

종로의 경우 여야 차기대선후보 선호도 조사에서 각각 1위를 달리는 이낙연 전 총리와 황교안 대표가 맞붙어 화제의 지역구로 분류되고 있다. 승리한 후보는 명실상부한 대선후보로 우뚝 서겠지만 패한 쪽은 대권 도전에 험로가 예상된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있는 광진을 역시 격전지다. 문재인 대통령의 입으로 활동했던 고민정 전 청와대 대변인이 전략공천 돼, 오 전 시장과 붙게 됐다. 고 전 대변인이야 패해도 잃을게 없지만, 오 전 시장은 패하면 정계은퇴 수순을 밟을 운명에 처한다. 승리해도 정치적 위상이 높아질 일은 없다. 그나마 정치 재기와 함께 차기 대권 도전 의지를 이어갈 수 있다는 점이 득이다. 

경남 양산을의 경우 여당에서는 김두관 전 경남도지사를 차출해 출마를 시켰다. 미래통합당에서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지만, 홍준표 전 경남지사로 정해질 것이란 관측이다. 김 전 지사는 ‘리틀 노무현’으로 불리는 원조 친노 인사인데다 대권에도 도전한 바 있다. 

홍 전 지사 역시 지난 대선에 나서 패한 바 있다. 김 전 지사야 당의 요청으로 험지 출마를 받아들였다는 점에서 패해도 한 번의 기회는 있다. 물론 이길 경우 PK 대망론을 이어갈 주자로 부상할 전망이다. 반면 홍 전 지사는 패하면 오 전 시장과 마찬가지로 정계은퇴수순을 밟아야 한다. 이기면 대권 도전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동작을의 나경원 의원 지역구도 관심사다. 아직 여당 후보는 결정되지 않았지만 중량감 있는 후보가 나서 나 의원을 이길 경우 차기 서울시장 후보나 대권주자로 부상할 수 있다.

잠룡들 희비는 지역구에만 국한된 게 아니다. ‘장기집권’을 바라는 이해찬 대표와 민주당은 8도 선대위를 통해 잠룡들을 쉴 새 없이 움직이게 만들고 있다. 일단 임종석 전 대통령 실장이 호남선대위원장을 고사하면서 이해찬-이낙연 투톱체제로 선대위는 출범시켰다. 

그러나 애초 구상은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이낙연, 강원 이광재, 전라남북도 임종석, 대구/경북 김부겸, 부산 김영춘, 경남 김두관, 충청남북도 김동연 등 권역별 공동선대위원장 체제를 구상했다. 차기 잠룡들에게 해당 지역에서 승리를 견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기 대권 도전에 유리한 고지를 확보하기 위함으로 총선도 이기고 차기 대선까지 염두에 둔 일석이조 선거전략이다.

민주당 지도부 입장에서는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 후보가 국민참여경선을 통해 대통령에 오른 경험을 차기 대선에서도 재현하겠다는 복안이 깔려 있다. 광역단체장이라는 직함 때문에 못 움직이는 박원순 서울시장과 이재명 경기도지사, 김경수 경남도지사까지 더할 경우 노무현 열풍이 불었던 2002년 국민참여경선보다 더 큰 흥행을 노려볼 만 구상이다.  

문제는 호남이다. 호남 출신 잠룡들이 호남을 대표해 나설 경우 호남 프레임에 갇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호남이라는 확실한 우군이 생기지만 대신 차기 대권 주자로서 확장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임 전 실장이 고사하는 이유다. 

한국당도 마찬가지다. 황교안 대망론에 이어 윤석열 대망론 급기야 김형오 대망론까지 나오고 있다. 김형오 대망론은 현역의원들뿐만 아니라 중진급 의원들의 인적쇄신을 이끌면서 농담삼아 나오는 말이지만, 여야 모두 총선이 차기 대권 전초전으로 흘러가고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

※ 외부 필자의 기고는 <폴리뉴스>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