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최고 실적 건설사, 지난해 재무상태 뜯어보니 

'top5' 건설사의 지난해 손실충당금 설정 비율. 손실충당금은 각 기업이 채권에 대해 앞으로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예상되는 금액을 추산해 미리 비용으로 처리하기 위해 설정한 금액이다. <그래프=폴리뉴스 제작> 
▲ 'top5' 건설사의 지난해 손실충당금 설정 비율. 손실충당금은 각 기업이 채권에 대해 앞으로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예상되는 금액을 추산해 미리 비용으로 처리하기 위해 설정한 금액이다. <그래프=폴리뉴스 제작> 

 

[폴리뉴스 이은주 기자] 올해 1분기 5대 건설사 중 가장 높은 영업이익을 기록한 대림산업의 지난해 손실충당금 설정 비율이 35.7%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타 건설사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수준으로, 대림산업이 시행사들을 대상으로 제공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지급 보증 일부가 부실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11일 폴리뉴스가 지난 4월 발표된 건설사들의 지난해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주요 5대 건설사들의 손실충당금 설정 비율은 각각 대림산업 35.7%, 대우건설 25.36%, GS건설 15.8%, 삼성물산 8.7%, 현대건설 5.9% 순이었다. 손실충당금은 각 기업이 채권에 대해 앞으로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예상되는 금액을 추산해 미리 비용으로 처리하기 위해 설정한 금액이다. 기업이 보유한 채권 중 손실충당금 설정 비율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매출이 높아도 정작 채권회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대손충당금만 쌓이는 구조가 되는 리스크를 배제하기 어렵다. 

대림산업이 손실충당금으로 설정한 채권의 상당수는 시행사를 대상으로 제공한 PF의 지급보증 부담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PF지급보증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주로 시행사가 건축 사업을 시행할 때 발생 가능한 우발채무를 건설사가 대신 갚겠다는 확약 채무 형태가 많다. 시행사가 진행한 사업이 부실화될 경우 건설사의 이익도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대림산업측은 “손실 가능성이 높은 채권을 구체적으로 공개하긴 어렵지만, 상당수가 시행사들을 대상으로 보증한 PF대출이 부실화된 영향”이라고 말했다. 한국신용평가 또한 지난 2018년 대림산업의 신용을 평가하면서 중단 및 장기 미착공 사업장 관련 영업자산과 PF 지급보증 부담은 단기간 내 해소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다만 한국신용평가는 “대림산업의 투자자산, 보유유동성 수준 등을 고려할 때 관련 위험은 통제 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고 봤다. 

대림산업측은 사업보고서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국내‧외 공사들에 대한 개별손상금액은 없다”고 밝혔다. 다만 지난 3년간 대림산업의 손실충당금 설정비율의 추이는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이는 타 건설사와 비교해서도 증가율이 높은 수준이다. 지난 2017년 채권의 21.7%를 손실충당금으로 설정했던 대림산업은 2018년 28.30%, 2019년 35.7%를 설정했다. 반면 현대건설의 경우 2017년 7.6%, 2018년 5.9%, 2019년 5.9%로 손실충당금을 설정했다. GS건설은 2017년 11.1%, 2018년 14.4%, 2019년 15.8%로 설정했다. 대림산업 관계자는 “3-4년 전 건설업계의 손해가 컸기에 투자자들도, 회계법인들도 건설사의 회계를 민감하게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대림산업은 최대한 보수적으로 회계를 처리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