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 유지의 최저선 지켜 나가야, 이번 사건 푸는 데에서부터 대화 불씨 살리자”
“김정은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한다는 뜻 전해온 것, 각별한 의미로 받아들인다”
“사건 사실관계 규명과 재발방지 위한 실질적 방안 마련이 절실히 필요한 일”

[폴리뉴스 정찬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8일 북한군이 민간인 사살 사건과 관련해 “이번 비극적 사건이 사건으로만 끝나지 않고 대화와 협력의 기회를 만들고, 남북관계를 진전시키는 계기로 반전되기를 기대한다”고 남북관계 반전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여민1관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북한군의 민간인 사살 사건 하루 만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우리 국민들에 대한 사과로 이어진 것과 관련 “대화가 단절되어 있으면 문제를 풀길이 없고, 서로 협력하지 않으면 재발 방지를 위한 실효적인 대책도 세우기가 어렵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과 앞으로의 처리 결말 역시 분단의 역사 속에 기록될 것이다. 비극이 반복되는 대립의 역사는 이제 끝내야 한다”며 “당장 제도적인 남북 협력으로 나아가지는 못하더라도 평화를 유지할 수 있는 최저선은 어떤 경우에든 지켜 나가야 한다. 이번 사건을 풀어 나가는 데에서부터 대화의 불씨를 살리고, 협력의 물꼬를 터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북측에 촉구했다.

또 “가장 아쉽게 부각되는 것은 남북 간의 군사통신선이 막혀 있는 현실이다. 긴급 시 남북 간의 군사통신선을 통해 연락과 소통이 이루어져야 우발적인 군사적 충돌이나 돌발적인 사건 사고를 막을 수 있다”며 “적어도 군사통신선만큼은 우선적으로 복구하여 재가동할 것”도 북측에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위원장이 북한군의 민간인 사살에 대해 사과한데 대해 “특별히 김정은 위원장이 우리 국민들께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한다는 뜻을 전해온 것에 대해 각별한 의미로 받아들인다”며 “북한의 최고 지도자로서 곧바로 직접 사과한 것은 사상 처음 있는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그만큼 김정은 위원장도 이번 사건을 심각하고 무겁게 여기고 있으며 남북관계가 파탄으로 가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북한 당국은 우리 정부가 책임 있는 답변과 조치를 요구한지 하루 만에 통지문을 보내 신속히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사태를 악화시켜 남북관계를 돌이킬 수 없는 상황으로 가는 것을 원치 않는다는 북한의 분명한 의지 표명으로 평가한다”며 “이번 사태의 해결을 위해서도, 남북관계의 미래를 위해서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얘기했다.

또 문 대통령은 이번 사건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고 불행한 일”이라며 “아무리 분단 상황이라고 해도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었다. 희생자가 어떻게 북한 해역으로 가게 되었는지 경위와 상관없이 유가족들의 상심과 비탄에 대해 깊은 애도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민들께서 받은 충격과 분노도 충분히 짐작하고 남는다. 이유 여하를 불문하고 국민의 신변과 안전을 지켜야 하는 정부로서 대단히 송구한 마음”이라며 “이 같은 비극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다짐과 함께 국민의 생명 보호를 위한 안보와 평화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정부의 책무를 강화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다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이번 사건의 사실관계를 규명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실질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남북 모두에게 절실히 필요한 일”이라며 “유사 사건이 발생하지 말아야 한다는 남북의 의지가 말로 끝나지 않도록 공동으로 해법을 모색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사실규명과 재발방지 방안 마련을 강조했다.

추석 연휴를 맞아 “여전히 긴장을 놓을 수 없는 방역 상황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맞이하는 명절”이라며 “서로에게 힘이 되는 추석이 되었으면 합니다. 몸은 떨어져 있어도 마음만은 함께하며, 지친 몸과 마음에 작은 쉼표를 찍고 재충전하는 시간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햇다.

이어 “명절 연휴에도 일을 해야만 하는 사람들과 소외되고 어려운 이웃들에게 따뜻한 마음을 나눌 수 있길 기대한다. 특별히 분단의 상처를 안고 있는 분들과 북녘에 고향을 둔 실향민들께 위로의 말을 전한다”고 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