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EP 체결로 아세안 시장 수출 증가 예상하는 철강산업
온실가스 배출량 높아질 가능성 있는 만큼 대비책 필요하다는 목소리 나와

포스코 광양제철소 제5고로에서 근로자가 뜨거운 쇳물 곁에서 작업하는 모습. <사진 = 연합뉴스>
▲ 포스코 광양제철소 제5고로에서 근로자가 뜨거운 쇳물 곁에서 작업하는 모습. <사진 = 연합뉴스>

 

[폴리뉴스 장경윤 수습기자] RCEP 체결로 철강 산업의 아세안 수출 활로가 튼 가운데,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에 대한 대비책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15일 세계 최대 규모의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이 체결되면서 국내 산업에 활력이 돌고 있다. 이번 협정에 참여한 한국·중국·일본·호주·뉴질랜드와 아세안 10개국의 시장 규모는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30%인 26조 3000억 달러(약 2경 9456조 원)에 달한다.

RCEP가 발효되면 가맹국 간 관세 철폐 품목이 증가하고, 관세 철폐율 역시 전반적으로 상승할 전망이다. 지난 2007년 FTA를 체결한 한국과 아세안의 관세철폐율은 현재 79.1%~89.4%에서 91.9~94.5%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 중에서도 철강 산업은 RCEP 체결을 적극적으로 환영했다.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등은 현재 고성장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설비가 미흡해 철강에 대한 수요가 높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국철강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철강제품의 RCEP 국가 수출액은 129억 달러(약 14조 448억 원)로, 전 세계 수출물동량의 47.8%를 차지했다. RCEP를 통해 봉·형강, 철강관, 도금강판 등 철강제품의 관세가 5~20% 내려가면 수출량은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철강 산업의 앞길이 마냥 '탄탄대로'인 것만은 아니다. 2018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이 총 제조업 배출량의 36%에 달하는 철강 산업은 그간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찍혀왔다.

반면 그린 뉴딜과 탄소중립 정책에 힘을 쏟는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권 3차 계획 기간에 속하는 2021~2025년에는 지금보다 2500만톤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더 줄여야 한다. 친환경 정책을 주요 공약으로 내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 또한 철강 산업에는 부담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업계 역시 위험을 예견하고 꾸준히 대책을 세워왔다. 한국철강협회는 지난달 '2020년 철강 기술 임원 간담회'를 개최해 2050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에 대한 업계 대응 방안, 신성장동력 확보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철강협회 손정근 상무는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부진과 보호무역주의, 친환경 경영에 대한 관심 강화로 매우 어려운 시기를 맞고 있다"며 "이러한 시장환경 돌파를 위해 국내 철강업계가 차별화된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제품 경쟁력을 높여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스코 역시 회사 공식 매체를 통해 "저탄소를 넘어 탄소 중립으로 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저탄소 혁신 기술에 대한 철강사 간 기술 및 정보 교류 강화, 국제 사회의 탄소 중립 성과 측정과 평가 가이드라인 기준 수립 등에 대응할 것을 강조했다. 최근에는 포항제철소 소결공장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저감하는 저감하는 청정설비를 설치했다.

현대제철은 지난달 말 당진시청에서 '제철소 온실가스 저감 및 환경개선 상호협력'을 체결했다. 협약의 핵심 내용은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폐열 회수, 환경 개선을 위한 오염물질 처리설비 설치 등이다.

또한 코크스 냉각 시 발생하는 폐열을 전력으로 재생산하는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DQ)'를 설치할 것을 밝혔다. 이 장비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연간 50만톤 이상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