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출자 4조, 투자자 손실 흡수에 활용될 수 있어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이 26일 영등포구 산업은행IR 센터에서 열린 '그린뉴딜 투자설명회'에 참석해 축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이 26일 영등포구 산업은행IR 센터에서 열린 '그린뉴딜 투자설명회'에 참석해 축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한국판 뉴딜’을 뒷받침하는 ‘정책형 뉴딜펀드’의 투자가 공격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지난 26일 산업은행 IR센터에서 열린 ‘그린뉴딜 투자설명회’에서 정책형 뉴딜펀드 투자처와 관련해 “위험과 수익을 면밀히 평가해 투자대상을 정해야 한다”면서도 “그간 시도되지 못한 프로젝트에 더 많은 투자가 공격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책형 뉴딜펀드는 정부와 정책금융기관(산업은행·상장사다리펀드)이 투자위험을 커버하는 펀드다. 목표금액 20조 원 중 정부와 정책금융기관 출자가 7조 원(35%), 민간 매칭이 13조 원(65%)을 채운다. 이 가운데 정부 재정 약 10%는 후순위로 출자해 위험흡수 역할을 한다. 즉, 일반 국민은 수익률이 –10%까지 떨어져도 원금을 보장받을 수 있는 셈이다.

김 차관은 산업은행이 뉴딜펀드에 출자하는 4조 원도 투자자의 손실을 흡수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매칭과 후순위 출자를 통해 재정이 투자위험을 분담하는 펀드 구조 자체는 기존의 정책형 펀드와 큰 차이는 없다”면서도 “위험부담 비율만큼은 전향적으로 설정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정의 후순위 출자분은 20조 원 규모 펀드총액의 평균 10%(2조 원)이고 필요하다면 개별 펀드별로 더 높일 수도 있다”며 “산업은행 등이 출자하는 4조 원도 위험부담에 추가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열어뒀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또 “정부도 내년 3월부터는 정책형 뉴딜펀드가 조성될 수 있도록 세부 운용방안을 마련하고 자(子)펀드 운용사를 선정하는 등 준비작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