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기술센터가 1일 서울 중구에서 산·학·연 전문가를 중심으로 ‘탄소중립기술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해 출범식을 열었다. 출범식에는 유연철 외교부 기후변화대사, 한선화 NST 이사장 직무대행 등 산학연 전문가 50여 명이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을 통해 참여했다. <사진=녹색기술센터>
▲ 녹색기술센터가 1일 서울 중구에서 산·학·연 전문가를 중심으로 ‘탄소중립기술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해 출범식을 열었다. 출범식에는 유연철 외교부 기후변화대사, 한선화 NST 이사장 직무대행 등 산학연 전문가 50여 명이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을 통해 참여했다. <사진=녹색기술센터>

 

[폴리뉴스 박응서 기자]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우려 속에서 과학기술계가 ‘탄소중립기술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하며 2050년 탄소중립사회를 위해 앞장선다.

녹색기술센터가 1일 서울 중구에서 산·학·연 전문가를 중심으로 ‘탄소중립기술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해 출범식을 열었다고 2일 밝혔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순 배출량이 ‘0’인 상태를 말하며, 세계 70여개 나라가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우리나라도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월 28일 국회에서 열린 시정연설에서 ‘2050 탄소중립 실현’을 밝혔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2022년까지 5개 탄소 중립 도시를 정해 시범사업하고, 2030년까지 전체 도시의 30%를, 2040년에는 모든 도시에 탄소 중립을 의무화한다는 계획을 수립해가고 있다.

이 같은 목표에 대해서 일부에서는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는데 목표가 너무 낮다”며 “정부와 기업에 규제를 더 강화하며 목표를 더 높여야 한다”고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현실이다. 익명을 요구한 전문가는 “국내 과학기술과 기업 현황을 볼 때 2030년 목표는 높은 수준으로 오히려 도전적인 목표라고 봐야 하는 상황”이라며 “정부와 기업에서 부단하게 노력해야 목표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우리나라는 한 해에 온실가스를 7억톤 정도 배출하며 2019년 기후변화대응지수에서 61개 나라 중 58위를 차지할 정도로 기후악당으로 불릴 정도로 탄소중립 기술이 열악한 상황이다.

이 같은 현실 인식에 탄소중립기술 전문가 협의체는 국가 기후변화대응과 탄소중립사회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국가 R&D 전략수립 지원과 정책 아젠다 발굴, 신규 연구사업 공동 기획과 정기 포럼 개최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인식 전환을 촉구할 계획이다.

탄소중립기술 전문가 협의체는 녹색기술센터가 탈탄소·녹색 사회 대전환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목적으로 구성해 기후정보, 수소, 수자원, 수처리, 태양광, 폐기물 등 6개 분야에서 산·학·연 전문가가 중심이 돼 운영된다.

한편 1일 출범식에는 유연철 외교부 기후변화대사, 한선화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 직무대행, 박원재 한국정보화진흥원 본부장(기후정보 분과 위원장), 남석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수소 분과 위원장), 김현식 한국수자원공사 처장(수자원 분과), 고석오 경희대 교수(수처리 분과), 김동환 고려대 교수(태양광 분과), 서용칠 연세대 교수(폐기물 분과) 등 50여 명이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을 통해 참여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