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정찬 기자]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는 2월 4주차(22~26일) 정당지지도 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에 역전했지만 양당 간 격차는 오차범위 내로 치열한 접전 양상을 유지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YTN 의뢰로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민주당이 지난주 주간집계 대비 1.3%P 오른 32.9%, 국민의힘은 1.1%P 내린 30.7%, 국민의당은 0.7%P 내린 7.2%, 열린민주당은 0.7%P 오른 6.7%, 정의당은 0.1%P 오른 4.8%, 기본소득당은 0.2%P 내린 0.8%, 시대전환은 0.2%P 내린 0.6%를 기록했다. 무당층은0.1%P 증가한 14.5%로 조사됐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당 지지율 격차는 2.2%P로 오차범위 내다. 양당 지지율은 1월 4주차(민주당 32.4% 대 국민의힘 29.7%) 이후 한 달 동안 오차범위 내에서 치열하게 경합하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4.7보궐선거가 있는 서울(31.3% 대 29.5%)에서는 접전양상이며 부산·울산·경남(27.6% 대 39.0%)에서는 국민의힘이 우위다.
민주당 지지율은 권역별로 광주·전라(3.1%P↑, 43.0%→46.1%), 인천·경기(2.1%P↑, 34.4%→36.5%), 부산·울산·경남(2.0%P↑, 25.6%→27.6%), 서울(1.8%P↑, 29.5%→31.3%) 등에서 상승했고 대전·세종·충청(3.4%P↓, 35.3%→31.9%)에서는 하락했다. 성별로는 여성(1.9%P↑, 31.4%→33.3%)에서 지지율이 올랐다.
연령대별로 70대 이상(3.5%P↑, 22.1%→25.6%), 40대(2.1%P↑, 42.0%→44.1%), 60대(1.8%P↑, 25.7%→27.5%) 등에서 지지율이 증가했고 이념성향별로 진보층(7.1%P↑, 55.7%→62.8%), 중도층(1.3%P↑, 26.9%→28.2%)에서 오른 반면 보수층(3.4%P↓, 16.4%→13.0%)에서는 하락했다.
직업별로 무직(13.9%P↑, 17.9%→31.8%), 가정주부(5.4%P↑, 26.5%→31.9%), 자영업(3.8%P↑, 29.5%→33.3%) 등에서 지지율이 올랐고 노동직(7.9%P↓, 35.7%→27.8%), 학생(3.6%P↓, 22.8%→19.2%) 등에서는 감소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권역별로 광주·전라(4.5%P↓, 19.0%→14.5%), 인천·경기(3.7%P↓, 31.4%→27.7%), 서울(3.1%P↓, 32.6%→29.5%) 등에서 떨어졌고 부산·울산·경남(2.9%P↑, 36.1%→39.0%), 대전·세종·충청(2.7%P↑, 29.7%→32.4%), 대구·경북(1.8%P↑, 41.6%→43.4%)에서는 상승했다.
성별로 여성(2.6%P↓, 31.0%→28.4%)에서 하락했으며 연령대별로 50대(4.5%P↓, 34.6%→30.1%), 40대(2.6%P↓, 26.0%→23.4%), 30대(1.0%P↓, 30.0%→29.0%)에서 지지율이 하락했고 70대 이상(2.9%P↑, 37.5%→40.4%)에서는 올랐다.
이념성향별로 중도층(3.3%P↓, 34.3%→31.0%)에서 지지율이 떨어졌고 직업별로 무직(8.7%P↓, 40.0%→31.3%), 가정주부(5.5%P↓, 38.6%→33.1%), 사무직(2.6%P↓, 26.6%→24.0%), 자영업(1.6%P↓, 37.1%→35.5%) 등에서 하락한 반면 노동직(8.4%P↑, 24.8%→33.2%), 학생(5.1%P↑, 24.9%→30.0%)에서는 상승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월 22~26일 전국 거주 18세 이상 유권자 2,513명을 대상으로 무선 전화면접(10%),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5.5%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P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청와대를 출입하면서 여론조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청와대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정치-외교-안보-통일 등의 현안을 정확하게 보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최근 유통업계에 ‘최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최근 급변하는 유통시장에서 생존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인데요 폴리뉴스에서 알아봤습니다.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최근유통업계에 ‘최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최근 급변하는 유통시장에서 생존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쿠팡이 유료 회원이 아니어도 무료 로켓배송을 하겠다며 먼저 경쟁 신호탄을 쏘았습니다. 배송비 면제로 사실상 최저가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이마트는 쿠팡과 롯데마트몰, 홈플러스몰보다 구매 상품이 비싸면 그 차액을 자사 포인트로 적립해준다며 응수했습니다. 롯데마트도 맞불을 놨습니다. 이마트가 최저가를 선언한 생필품 500개 품목을 동일한 가격으로 판매합니다. 포인트도 5배 더 줍니다. 마켓컬리도 과일, 채소 등 60여종의 신선식품을1년 내내 최저가에 판매한다며 전쟁에 참가했습니다. 이에 질새라 편의점까지 가세했습니다. CU와 GS25는 6종의 친환경 채소를 대형 마트보다 싸게 판매합니다. 업계는 이를 통해 마케팅은 물론오프라인 매장으로 고객유도효과도노리고 있습니다. 이마트의 보상받은 차액 ‘e머니’는 오프라인에서 쓸 수 있고, 롯데마트는 오프라인 매장에서만 포인트 적립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제 살 깎아먹기식 출혈경쟁은 결국납품업체로 부담이 전가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