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전수영 기자] 상생과통일포럼과 인터넷 종합미디어 폴리뉴스가 공동으로 주최한 제 6회 경제포럼이 성황리에 끝났다.25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 12층 서울시티클럽 컨벤션홀에서 ‘뉴 노멀(New Normal) 시대, 한국경제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열린경제포럼은, 현재 한국이 처한 대내…
2016 상생과통일포럼·폴리뉴스가 25일 여의도 CCMM 빌딩에서 'New Nomal 시대, 한국경제 길을 묻다' 라는 주제의 경제포럼을 주최했다.포럼의 기조발제에 나선 김준경 KDI 원장은 ▲세계경제의 흐름 ▲한국경제의 구조적 문제 ▲혁신을 통한 저성장 탈출방안 ▲제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영향에 대…
[폴리뉴스 정현민 기자]“우리는 지금 IT기술·정보처리 능력과 기존의 산업이 융합하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고 있습니다.”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4차 산업혁명은 기술혁신에 의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의 발전에 힘입어 그 동안 사장됐던 소비자 정보가 분석되면서 나타나…
[폴리뉴스 강준완·정현민 기자]김준경 KDI 원장은 한국경제의 구조적인 문제점에 대해 “기업 이익률은 지난 97~98년 외환위기 때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매출증가율도 하락세가 뚜렷하다”면서 좀비기업들의 증가를 우려했다.최근에는 조선업 외에도 일부 전기전자, 부실 반도체, 비메모리…
[폴리뉴스 서예온 기자] “저성장에 익숙해지고 활로를 찾아야 한다.”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CCMM 빌딩 12층 서울시티클럽 컨벤셜홀에서 ‘한국경제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열린 상생과 통일 포럼에서 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이같이 말했다.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한국이 뉴…
[폴리뉴스 노철중 기자] “금융부문에서 국내·외적으로 잠재적인 위험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25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 12층 서울시티클럽 컨벤션홀에서 상생과통일포럼·폴리뉴스가 공동으로 주최한‘New Normal 시대, 한국경제 길을 묻다’ 포럼에서 최훈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 국장은…
[폴리뉴스 박재형 기자] “기업의 투자 위험을 국가와 사회가 공유해야 기업의 투자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원동진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국장은 25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 12층 서울시티클럽 컨벤션홀에서 폴리뉴스와 상생과통일포럼이 공동 주최한 제6회 경제포럼 ‘뉴 노멀 시대, 한국경제 길…
[폴리뉴스강준완·정현민 기자]“조선산업 등 구조조정,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의 출현, 노동시장 수요변화, 기업 간-국가 간 경쟁 격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규제개혁·노동개혁·교육개혁 등 전방위 구조개혁이 절박합니다.”상생과통일포럼과 폴리뉴스가 주최한 제6회…
[폴리뉴스 강준완·정현민 기자]“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8년이 지난 2016년 미국의 가계부채는 대폭 축소됐으나, 정부부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100% 이상으로 급증했습니다.”김준경 KDI 원장은 상생과통일포럼·폴리뉴스가 25일 여의도 CCMM 빌딩에서 개최한 'New Nomal 시대, 한국경…
[폴리뉴스 전수영 기자] 인터넷종합미디어 폴리뉴스와 상생과통일포럼은 공동으로 ‘뉴 노멀(New Normal)시대, 한국경제 길을 묻다’ 경제포럼을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오는 25일 오전 8시부터 서울 여의도 CCMM빌딩 12층 서울시티클럽 컨벤션홀에서 열리는 이번 경제포럼에서 김준경 한국개…
스포티파이는 세계 1위 오디오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입니다. 2006년 23세 IT개발자 다니엘 에크가 스웨덴에서 만든 스타트업에서 시작됐는데요, 폴리뉴스에서 알아봤습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스포티파이는 세계 1위 오디오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입니다. 22006년 23세 IT개발자 다니엘 에크가 스웨덴에서 만든 스타트업에서 시작됐습니다. 1999년 개인이 보유한 음악파일을 인터넷에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냅스터’가 나온 후 불법 다운로드가 기승을 부렸습니다. 2001년 애플은 아이튠즈를 통해 이용자가 CD에서 음원을 추출해 MP3플레이어 아이팟에 옮겨 담도록 했습니다. 이용자들은 다양한 음악을 골라 들을 수 있게 됐지만, 음반사들은 파산 위기에 처했습니다. 애플은 아이튠즈 스토어에서 1곡당 99센트에 구매하는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스포티파이는 이용자가 무료로 음원을 듣게 하되, 수익은 광고로 충당하며 그 수익을 아티스트와 음반사에 배분했습니다. 스포티파이의 미국 진출을 저지하려 스티브 잡스는 음반사 등 여러 경로로 압력을 가했다고 전해집니다. 결국 전세계 3억명 이용, 7000만 곡을 제공하는 최대 음원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지금도 매출의 70%를 저작권료로, 지난해까지 26조원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2월 스포티파이는 한국에 진출했지만 초반 성적은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입니다. 그 이유 중 하나로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