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타트업과 벤처생태계에 롤모델 기대
이영 의원 “국내 벤처창업 생태계 위해 차등의결권 도입 서둘러야”

쿠팡이 상장을 추진하면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비밀이 밝혀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쿠팡이 상장을 추진하면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비밀이 밝혀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박응서 기자] 쿠팡이 미국 증시에 상장을 추진하면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쿠팡에 대한 비밀이 하나씩 알려지고 있다.

지난 12일(미국시간) 쿠팡은 뉴욕증권거래소 보통주 상장을 위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상장신고서를 제출했다. 200쪽이 넘는 이 신고서를 통해 확인된 내용을 분석해 봤다.

 

미국 증시, 국내보다 상장 쉽고 차등의결권 가능

쿠팡의 지주회사인 ‘쿠팡LLC’는 이번 상장을 위해 사명을 주식회사 ‘쿠팡INC’로 바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쿠팡의 기업 가치가 500억달러(약 55조 원)에 이를 것”이라고 보도했다.

쿠팡은 상장신고서에서 이번 상장을 통해 10억달러(약 1조 1000억 원)를 조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쿠팡은 이 같은 투자금을 받는데 한국보다는 상장 장벽이 낮은 미국이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 코스닥은 상장 요건에서 사업 이익과 매출, 자기자본 등을 평가하는 ‘경영 성과 및 시장 평가’ 항목이 있다.

그런데 쿠팡은 창업 이후 급성장을 하고 있지만 지난해 말까지 누적 적자 규모가 41억 1800만달러(약 4조 5298억 원)에 달한다. 지난해 순손실은 4억 7490만달러(약 5224억 원)로 2019년 6억 9880만달러(약 7687억 원)보단 줄었지만 여전히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반면 미국증시는 플랫폼 기업에 대한 평가가 높고 상장 요건이 국내보다 덜 까다로워 쿠팡에 유리하다.

쿠팡이 미국을 선택한 이유가 차등의결권 부여라는 분석도 나온다. 상장신고서에서 쿠팡은 창립자인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의 보유 주식에 대해서 ‘일반 주식의 29배’에 해당하는 ‘차등의결권’을 부여한다고 밝혔다.

쿠팡이 미국에 상장된 뒤 지분의 1.8%만 갖고 있으면 김 의장이 52.2%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어 지분 감소로 경영권을 잃을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한 셈이다. 상장신고서에 김범석 의장의 지분율은 제시되지 않았다. WSJ는 쿠팡에 가장 많이 투자한 회사로 알려진 소프트뱅크의 투자펀드인 비전펀드(SVF)가 2015년과 2018년 두 차례에 걸쳐 30억달러(약 3조 3000억 원)를 투자해 쿠팡 지분 38%를 보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소프트뱅크의 지분가치가 190억달러(약 21조 원)로 크게 오를 것으로 보인다.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이 지난해 158억 원에 달하는 보수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쿠팡>
▲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이 지난해 158억 원에 달하는 보수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쿠팡>

 

김범석 의장 1년 158억, 쿠팡맨에 1000억 자사주 지급

상장신고서에서 김범석 의장과 경영진들의 연봉도 확인됐다. 김범석 의장은 지난해 연봉 88만 6000달러와 상여금 등을 합쳐 총 1434만 1229달러(약 158억 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영입된 투안 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2743만달러 상당 스톡어워드를 비롯해 총 2764만달러(약 305억 원)의 보수를 받았다.

쿠팡은 상장신고서에서 배송 기사인 ‘쿠팡맨’에게는 최대 1000억 원대 자사주를 보너스로 지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직원 5만 명을 기준으로 하면 1명이 평균 200만 원씩 받는 셈이다. 이에 대해 한 증권전문가는 “한국 증시에서는 전체 지분의 20%를 우리사주조합원에게 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며 “상대적으로 쿠팡 직원들에 대한 자사주 배정이 적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상장신고서로 쿠팡 매출과 영업이익도 확인됐다. 쿠팡은 지난해 매출이 119억 6733만달러(약 13조 2500억 원)로 2019년 62억 7326만달러(7조 1000억원)보다 91%가량 늘어났다고 밝혔다. 영업손실은 5억 2773만달러(5805억 원)로 2019년 6억 4383만달러(7082억원)보다 1200억 원가량 줄였다.

2013년 478억 원이었던 쿠팡 매출이 2년만인 2015년에 1조 130억 원을 기록하며 1조 원을 돌파했다. 그리고 2017년 2조 6813억 원, 2018년 4조 원, 2019년 7조 원, 2020년 13조 원을 넘어섰다. 매년 2배에 가까운 성장을 보여주고 있는 데다, 적자 폭을 계속 줄이고 있어서 쿠팡이 미국 증시에서 높은 평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증시 상장 성공, 국내 스타트업과 벤처생태계에 긍정적

이번에 미국 증시에 상장하는 회사는 쿠팡이 아니고, 쿠팡의 지주회사인 쿠팡INC다. 쿠팡INC는 미국에 본사를 둔 미국 회사다. 일각에서 미국 기업이 미국증권가에 상장했고, 사업을 한국에서 하고 있을 뿐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하지만 한국에 세금을 내고 있고, 국내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어 이분법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는 해석도 나온다.

한편 쿠팡은 상장신고서에서 ‘한국 정부는 쿠팡플렉스와 쿠팡이츠 배달원을 플랫폼노동자가 아닌 독립계약자(개인사업자)로 판정했다’고 표시해 논란이 되고 있다. 그동안 고용노동부가 이들을 쿠팡으로부터 업무 지휘·감독을 받는 노동자로 판단하거나 해석한 적은 없었다.

최근 세계적으로 플랫폼노동자를 독립계약자로 판단하면 안 된다는 법원 판결이 나오고 있어서, 이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언급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쿠팡은 “쿠팡플렉스와 쿠팡이츠 배달원을 독립계약자로 분류하는 것이 법령과 법적 해석에서 어려워진다면 이를 방어하고 해결하는 데 드는 비용은 당사 사업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같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쿠팡이 미국 증시 상장에 성공하면 국내 스타트업과 벤처생태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 증시 상장은 국내 증시 상장에 비해 기업가치를 더 높게 인정받을 수 있다. 국내 기업의 미국 상장이 활발해지면 국내 유니콘 기업 탄생 가능성도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새벽 배송으로 잘 알려진 마켓컬리도 미국 증시 상장을 검토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쿠팡의 미국 상장에 대해서 이영 국민의힘 국회의원(초선, 비례대표)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36개 국가 중 17개 국가, 유럽 300대 상장기업 중 20%가 차등의결권 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구글과 페이스북, 알리바바 등 기업들도 차등의결권주를 통해 헤지펀드에 의한 경영권 방어를 하고 있다”며 “국내 벤처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 벤처기업을 위한 차등의결권 도입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쿠팡이 미국 증시에 나선 핵심 이유가 차등의결권이라는 관점에서 우리나라도 차등의결권을 도입해 국내 스타트업과 벤처생태계 활성화에 앞장설 필요가 있는 설명이다. 이영 의원은 IT 보안 전문기업 테르텐 대표와 한국여성벤처협회장,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