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 시기 지연됐을 때 부작용 함께 고려해야"
"가계빚 증가세 지속되면 더 큰 대가 지불해야"
"통화정책은 국내 경제 여건에 맞춰서 결정"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신미정 기자]  한국은행이 27일 기준금리를 연 0.5%로 동결하겠다고 발표했다. 동시에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밝히면서 역대 최대 규모인 1765조 가계부채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 27일 열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통화방향 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 연 0.5%로 또다시 동결했다. 코로나19 백신접종이 시작되면서 글로벌 경기회복세 영향을 받아 수출과 설비 투자가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민간 소비는 아직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아 당장 금리 인상으로 경기를 위축시킬 수 없다는 판단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이날 금통위 회의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완화적 통화정책이 불러온 금융 불균형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며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금리 인상 시기를) 너무 서두르면 안 되겠지만 지연됐을 때의 부작용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며 “실물경제와 금융 안정 상황 변화에 맞춰 질서 있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금리 인상 여부는 경제 상황에 달려 있다는 것으로 상황에 따라 올해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도 있다는 말로 해석된다. “완화적 통화정책을 바꿀 때가 아니다”라는 4월 금통위 회의 때 발언과 뚜렸하게 대비되는 행보다.  

이 총재가 입장을 달리 한 것은 초저금리로 인해 시중에 돈이 대거 풀리면서 최근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력이 커졌고, 부동산과 암호화폐 등 자산가격이 급등하고 가계빚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이 지난 25일 발표한 올해 1분기 말 가계신용(가계 빚) 잔액은 1765조원이다. 지난해 1분기 말과 비교해 153조6000억원이 불었다.

이 총재가 "금리가 올라가면 차입 가계의 이자 상환 부담이 커지는 건 불가피하다"면서 "가계빚 증가세가 지속된다면 더 큰 대가를 지불해야 하기에 억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 이유다.  

두달 째 오른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금리 상승도 가계부채 부담을 가중시키는 이유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4월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기준 가계대출 금리는 연 2.91%로 전월 대비 0.03%포인트 오르며 2개월째 상승했다. 연 2.95% 를 기록했던 지난해 1월 이후 1년 3개월만에 최고 수준이다.

인플레이션 압력도 커졌다. 지난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3%를 기록했다. 이는 한은의 연간 물가 목표치인 2%를 웃돈 것은 물론 2017년 8월 2.5% 후 최고치다. 앞으로 1년 동안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이달 2.2%를 기록해 2019년 5월 2.2% 이후 가장 높았다.

이 총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상 여부와 관계없이 먼저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 총재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은 국내 금융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통화정책 결정 시 중요한 고려사항"이라면서도 "우리 통화정책은 국내 경제 여건에 맞춰서 결정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이어 "(한은 통화정책이) 반드시 연준 통화정책과 1대1로 매칭해서 운용되는 건 아니다"고 덧붙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