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바이든 화상으로 만나, ACT-A 3억 불 추가 기여 약속 및 금융중개기금(FIF) 창설지지 밝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2일 밤 미국 백악관이 화상으로 생중계한 코로나19 2차 정상회의에 참석한 모습.[사진=대통령실] 
▲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2일 밤 미국 백악관이 화상으로 생중계한 코로나19 2차 정상회의에 참석한 모습.[사진=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은 12일 2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정상회의에 참석해 한국이 국제사회에 약속한 약속 이행을 강조하고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역할을 다해 나가고, 그것이 인류의 번영을 위한 길이라는 점을 잊지 않겠다“고 말했다.

미국 백악관을 통해 화상으로 생중계된 정상회의에서 윤 대통령은 “한국은 코로나를 빠르게 종식시키고, 지속 가능한 글로벌 보건 대응체계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해왔다. 앞으로도 우리는 코로나 종식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더욱 힘을 보태고, 그 책임과 역할을 다해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를 위해 “우선 ACT-A에 3억 불의 재원을 추가로 기여할 것”이라며 백신이 필요한 국가들에 대한 백신 접종 지원과 함께 “세계보건기구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를 구축하여 개도국들의 백신 자급화 노력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다.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에도 적극 참여함으로써 국가 간 공조 체제 강화에 함께하겠다”고 약속했다.

ACT-A는 코로나19 기초 보건기술(백신, 치료제, 진단)의 개발, 생산 및 공평한 접근을 촉진하기 위해 2020년 4월 WHO, 게이츠재단, 웰컴트러스트, 감염병혁신연합(CEPI),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글로벌펀드, 국제의약품구매기구(Unitaid)가 공동 출범한 이니셔티브다. 우리는 지금까지 ACT-A에 약 2.1억불 기여했고 윤 대통령이 이번 제2차 코로나 정상회의 계기에 3억불 추가 기여를 약속한 것이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금융중개기금(FIF)의 창설을 지지한다. 이를 통해 국제사회가 충분한 재원을 신속하게 동원하여 신종 감염병을 비롯한 새로운 보건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코로나19 정상회의는 코로나19의 글로벌 대유행을 종식하기 위한 미국의 주도권 강화 목적에서 추진된 것으로 작년 9월에 이어 두 번째로 열렸다. 미국과 독일, 벨리즈, 인도네시아, 세네갈이 공동 주최로 열렸고 독일은 주요 7개국(G7), 벨리즈는 카리브공동체(CARICOM·카리콤), 인도네시아는 주요 20개국(G20), 세네갈은 아프리카연합(AU)의 올해 의장국이다. 

회의에는 이들 국가 외에 한국과 일본, 캐나다, 인도, 스페인, 뉴질랜드 등 15개국 안팎과 유럽집행위원회가 참석했고 세계보건기구(WHO), 세계은행(WB), 세계무역기구(WTO) 등 국제기구와 구글,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빌앤드멜린다재단 등도 참석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회의에서 “대유행은 끝나지 않았다. 아직 할 일이 많다”면서 WHO를 통해 백신 제조에 사용되는 기술을 공유, 미래의 대유행에 대비하기 위해 세계은행의 글로벌 보건 기금에 추가로 2억 달러를 기부 계획 등을 밝혔다.

또 바이든 대통령은 자신이 의회에 코로나19 검사와 치료제 및 백신 공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금 지원을 계속 요구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각국이 대유행 대응에 더 기여할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현재 국제 지원 50억 달러를 포함해 225억 달러 규모의 코로나19 대응 추가 자금을 의회에 요청한 상태이지만 아직 처리되지 못하고 있다.

회의 직후 바이든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공동성명을 내고 총 19억 도스 이상의 코로나19 백신을 전 세계에 공급하겠다는 약속에 따라 지속적인 보급 보장에 노력하는 등 접종 확대와 형평성 확보를 위해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양측은 각국의 백신 접종 운용을 위한 지속 가능한 자금 조달을 위해 다자 개발 은행 및 글로벌 파트너들과 대화를 강화하겠다고 했고 글로벌 공급망 및 제조를 강화하고, 새로운 백신 치료제 및 진단을 위한 연구·개발에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아울러 대유행 예방, 대비 및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글로벌 보건 안보 체계 개선을 위해 조율을 강화하기로 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