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박지현·윤호중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성비위 사건으로 제명된 박완주 의원과 관련해 민주당의 입장을 밝히고 공식 사과하고 있다. 2022.5.12 [국회사진기자단]
▲ 더불어민주당 박지현·윤호중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성비위 사건으로 제명된 박완주 의원과 관련해 민주당의 입장을 밝히고 공식 사과하고 있다. 2022.5.12 [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치인들의 성비위 파문이 점입가경이다. 얼마 전에는 최강욱 의원이 성희롱성 발언으로 물의를 빚더니, 이번에는 3선 중진인 박완주 의원이 성비위로 제명되었다. 이 뿐만이 아니다.

김원이 의원은 보좌진이 동료 여직원을 성폭행했다는 의혹에다가 본인의 2차 가해 논란이 불거져 있는 상황이다. 최강욱 의원의 추가 성희롱 의혹도 언론 보도를 통해 제기되었다. 이상헌 의원이 성비위로 당내 조사를 받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는데, 본인과 민주당 모두 부인하고 있어 아직 진상은 불확실하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보좌진협의회(민보협)는 "다른 성 비위 제보도 여러 건 접수돼 있다"고 폭로하고 나서 파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민보협은 "최근 최강욱 의원 발언 문제가 불거진 후 많은 제보가 들어왔다”면서 “차마 공개적으로 올리기 민망한 성희롱성 발언을 확인했다"고 밝힌 상태이다.

이미 소속 광역단체장들의 잇따른 성비위 사건으로 큰 물의를 빚었던 민주당이었다. 지난 2018년에는 안희정 충남도지사, 2020년에는 박원순 서울시장과 오거돈 부산시장의 성비위 사건이 잇따라 터져 나왔다. 그 뒤로 국민들에게 사과도 하고, 가해자 영구제명을 포함한 당헌·당규 개정 등 여러 대책을 내놓았지만 백약이 무효가 된 모습이다.

여기서 떠오르는 의문은, 어째서 정치권에서 터져나오는 성비위 사건들은 유독 민주당에서 집중적으로 생겨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물론 정의당에서도 당 대표가 성추행 사건으로 사퇴하는 등 다른 정당들이라고 예외는 아니겠지만, 그래도 민주당에서 성비위 사건들이 유난하게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과거 새누리당을 ‘성누리당’이라고 야유하던 시절이 있었다. 그런데 이제는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더불어성추행당’이라는 야유가 나오는 판이다. 민주당을 이끌고 있는 중심세력이 그래도 과거 민주화운동을 했거나 사회적 약자들의 편에 섰다는, 그래서 언제나 정의의 편을 자처했던 사람들임을 생각하면, 이런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곤혹스럽다. 이번에 물의를 빚은 박완주 의원도 ‘86’ 학생운동 출신이다. 더구나 지금 민주당의 공동비대위원장 자리에는 'n번방 추적단 불꽃' 출신의 박지현 위원장이 있지 않은가.

스탕달의 소설 『적과 흑』의 주인공 쥘리엥은 19세기 프랑스의 귀족사회를 그렇게 혐오했으면서도, 자신 또한 신분 상승의 욕망에 사로잡히게 된다. 주체하지 못한 그의 욕망은 결국 레날 부인을 쏴 죽이는 범죄를 저지르게 만들고, 자신은 사형선고를 받는 파멸을 낳게 된다. 오늘 우리 정치에도 쥘리엥들이 많다.

주목할 것은, 민주당 관련 성비위 사건들이 잇따른 것이 대부분 집권 여당이 된 이후였다는 사실이다. 국민의 눈높이에서 보았을 때 민주당이 권력에 취해서 이렇게 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할 만도 하게 되었다. 민주당은 지난 5년간 대통령 권력, 국회 권력, 지방권력을 거의 독점하다 시피하는 절대권력으로 자리해왔다. 고인물이 썪듯이, 자기 긴장을 내려놓은 권력은 이 같은 도덕적 해이로 인한 사고들을 반복하게 된다.

한 두 번도 아니고, 같은 정당 안에서 성추행, 성비위 사건들이 계속 반복되고 있으니 개인적 일탈이라고만 하고 넘어가기는 어렵다. 스스로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너무 많은 권력을 부여받았던 것 아니냐는 시선을 피할 길이 없게 되었다. 비단 이번 사건들 뿐 아니라, 민주당은 대선 패배를 낳은 전반적인 문제들에 대해 성찰과 자정의 노력을 이제라도 보여주어야 한다. 3월 10일 이후 그런 성찰의 시간조차 없이 치달으면서 민주당의 길은 계속 민심과 유리되고 꼬여가고 있다. 이번에 제기된 각종 성비위 의혹들에 대해 철저한 진상규명과 단호한 조치가 그 선결 과제임은 두말 할 필요가 없다.

 

※ 외부 필자의 기고는 <폴리뉴스>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