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매출액 500대 기업 100곳 대상 '2022년 하반기 국내 투자계획' 설문조사

남산에서 바라본 기업 빌딩 전경
▲ 남산에서 바라본 기업 빌딩 전경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의 '2022년 하반기 국내 투자계획' 설문조사에 따르면 원자재 가격 급등, 글로벌 통화긴축 가속화 등 대외여건 악화로 인해 국내 대기업들의 올해 하반기 투자활동은 상반기에 비해 부진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우선 투자규모를 확대하겠다는 응답인 16%보다 12% 많은 수치인 응답 기업의 28%는 올해 상반기 대비 하반기 투자 규모를 축소하겠다고 답했다.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 등 국내외 경제 불안정(43.3%)하고, 금융권 자금조달 환경 악화(19.0%) ,글로벌 경기침체(9.0%) 등을 이유로 꼽았다.

반면 투자 규모를 늘리겠다고 답변한 기업들은 주요 요인으로 미래 성장동력 확보(33.4%), 신정부의 기업활력 제고 기대감(20.8%) 및 불황기 적극 투자(20.8%) 등을 거론했다.

대기업들은 올해 하반기 투자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3대 위험요소로 고물가 지속(30.4%), 글로벌 통화긴축에 따른 자산·실물경기 위축(22.0%),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공급망 훼손 심화(23.0%) 등을 지목했다. 

전경련은 일부 대기업의 경우 미래 산업에 대한 경쟁우위 확보, 새 정부의 민간활력 제고 기대감 등으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지만 대외환경이 불투명해 대기업 전반적으로는 투자 축소 전망이 우세했다고 분석했다.

동시에 최근 국내공급물가(국내에 공급되는 상품 및 서비스의 물가를 측정한 지수)와 소비자물가가 동반 급등함에 따라 기업들이 생산비용 및 임금상승 압력에 직면해 투자 여력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투자활동 활성화 예상 시점으로는 응답 기업의 58%가 2023년을 꼽았다. 구체적으로 32%는 내년 상반기, 26%는 하반기에 투자활동이 각각 활성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7%는 2024년 이후라고 답했고, 10%는 기약이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응답 기업의 75%가 본격적인 투자활동 활성화 개시 시점을 내년 이후로 예상한 것이다. 투자활동이 이미 활성화됐다는 답변은 12%, 올해 하반기 활성화 예상 응답은 13%였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고물가·고환율·고금리 현상 등 경영 불확실성에 직면한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투자를 늘리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새 정부의 법인세 제도 개선, 규제 혁파, 주요국과의 원자재 수급 협력체계 강화 노력 등으로 하반기에는 기업의 투자심리가 점차 회복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