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포털은 10년 전부터 논의된 것, 미디어 바우처로 시민들에게 뉴스 선택권 주자”

열린민주당 김의겸 의원이 지난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인사말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열린민주당 김의겸 의원이 지난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인사말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김의겸 열린민주당 의원은 29일 네이버와 다음 포털뉴스 서비스에 대해 “질 낮은 기사들이  모이고 고여 악취를 풍기고 있다”면 이로 인한 최대 피해자가 “기자”라고 지목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인터넷 포털뉴스를 ‘정치적 포로노’라고 비유한데 대해 “저급한 음모론, 패륜적 조롱, 가학적 선정성 우리 시민사회를 정치적으로 타락시킬 만한 요소를 두루 갖추고 있다”며 “자극적이고 말초적인 쪽에 끌리는 호기심의 어떤 계곡을 따라서 질 낮은 기사들이 흐르고 모이고 고여서 악취를 풍기고 있다. 그게 현재의 포털의 실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AI) 알고리즘에 따라 뉴스가 편집된다는 네이버·다음의 주장에 대해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기사들이 눈에 띄게 되고 그 기사를 보면 계속 확증 편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이 짜여있다”며 “제가 정치적 포르노라고 했는데 하드코어까지는 아니겠지만 연성 포르노화 정도는 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언론환경에 대해 “언론사 사주와 고용된 기자를 분리해 생각한다”며 “포털은 저질 기사로 손님들을 끌고 큰돈을 벌고 있다. 네이버는 우리나라에서 단일기업으로 규모가 3위다. 언론사 사주들은 이른바 전재료라는 이름으로 네이버에서 번 돈을 나눠 가진다. 언론사 사주와 포털은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공생관계”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자에 대해선 “(언론 사주와 포털)두 짝으로 이루어진 맷돌. 맷돌 사이에서 영혼이 갈려져 나가고 있는 현실이다. 일종의 악마의 맷돌에 갈려 나가고 있다”며 “(파블로프 실험에서처럼)기자들은 찰칵찰칵하는 클릭 소리에 호르몬이 분비가 되어서 빠른 시간 내에 가장 자극적이고 선정적으로 기사를 쓰도록 조건반사적으로 지금 내몰리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그래서 기자들은 피해자, 아니 최대 피해자”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한 ‘미디어 바우처’, ‘공영 포털’에 대해 “공영 포털이라는 것은 제 아이디어가 아니고 이미 10여 년 전부터 오랫동안 시도가 됐던 것”이라며 “네이버, 다음 같은 상업적인 곳에 맡기지 말고 기계에 맡기지 말고 인간이 판단을 하자는 것”이라고 얘기했다.

이어 “편집위원회는 정부가 들어가는 게 아니다. 언론사, 학계, 시민단체 등이 주축이 돼 편집위원회를 만들고 그 편집위원회가 주축이 돼 뉴스를 검토하고 판단하고 어디에 배치할지 결정을 짓자는 것”이라며 “이번에 새롭게 제시를 했다고 한다면 여기에 바우처를 도입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디어 바우처에 대해 “그 포털에 들어가는 가입자에게는 예를 들면 10만 원씩 주자. 그러면 그 10만 원을 가지고 자기가 좋은 기사, 훌륭한 기사, 필요한 기사라고 생각하는 곳에 뭐 작게는 1천 원, 많게는 10만 원을 기부하도록 하는 것”이라며 “이렇게 하면 공정성과 공공성과 그리고 이윤의 동기가 굉장히 돌아가지 않겠는가는 생각”이라고 했다.

바우처 재원마련에 대해선 “지금 현재 연간 전국 광고료가 1조 1천억 원이 넘는다. 그런데  이번 ABC 조사에서 밝혀졌듯이 신문, 포장지 뜯지도 않고 그대로 달걀판 만드는 데로 가지 않나? 정부가 왜 국민의 혈세를 그런 곳에 광고료를 집행하나?”라며 “정부와 언론사 간에 직거래보다는 시민들에게 선택권을 주는 것이 더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