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토론세션서 녹색회복 달성 위해 기술재원역량 배양 등 중심 협력강화 제안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정상토론세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청와대]
▲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정상토론세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은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이틀째인 5월 31일 서울선언문 채택에 대해 “정상들은 기후위기가 환경문제만이 아니라 경제, 사회, 안보, 인권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라는 데 동의”했다는데 의미를 부여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저녁 화상으로 진행한 포용적인 녹색회복을 통한 탄소중립 비전 실현을 주제한 ‘정상토론세션’ 후 서울선언문 주요내용에 대해 이같이 밝히고 “코로나19 역시 녹색회복을 통해 극복해 나가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 녹색회복은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하자는 파리협정을 실천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각국 정상, 국제기구 대표들과 함께 포용적인 녹색회복을 통한 탄소중립 비전 실현을 주제로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를 진행했다. 열다섯 개 주제별 세션과 이틀간의 정상 세션을 통해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다시 한 번 공유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시민사회, 기업, 미래세대가 함께 노력해 나갈 것을 약속하는 ‘서울선언문’을 채택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또 “지난해부터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과 각국의 야심찬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제출이 이어지고 있다”며 “지금까지의 국제사회 노력에 더해져 이번 회의를 통해 강화된 민관 협력이 다가오는 11월, 제26차 기후변화당사국총회를 성공적으로 이끌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상들은 또한, P4G가 유엔 주도의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 노력을 보완해왔다는 점에 동의했다”며 “앞으로 물, 에너지, 식량 및 농업, 도시, 순환경제, 금융, 지자체의 역할 강화, 포용적이고 공정한 전환 분야에서 민관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얘기했다.

나아가 “기후행동 확산을 위해 시민사회의 참여와 역할이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우리는 기업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활동을 지금보다 더 중요하게 여길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경제·사회 구조 전반을 저탄소 방식으로 전환을 강조해야 미래세대가 생존할 수 있다”는 점도 짚었다.

문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이번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를 통해 국제사회의 ‘포용적 녹색회복을 통한 탄소중립 비전 실현’ 의지가 결집되었으며, 이를 위한 한국의 노력을 평가하고, 2023년 콜롬비아에서 개최될 차기 정상회의에 대한 기대를 담았다”고 얘기했다.

문 대통령의 회의 개시로 시작된 정상 토론세션은 기조발제, 15개 세션(기본·특별세션) 결과보고 영상 및 참석자 발언 순으로 진행됐다. 세션에는 국가 정상 및 IMF 대표 등 총 13명이 실시간 화상으로 참석해  코로나19로부터의 포용적 녹색회복 2050 탄소중립을 향한 국제사회의 공동대응 기후행동 강화 및 민관 협력 확산을 위한 노력 등 3가지 주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문 대통령은 토론세션 실시간 발언에서 국제사회가 포용적 녹색회복 달성을 위해 기술 재원 역량 배양을 중심으로 협력을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녹색기후기금(GCF),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등 우리나라 소재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할 것임을 밝혔다.

또한, 문 대통령은 5월 31일이 한국의 바다의 날임을 소개하면서 해양 보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유엔 차원에서 플라스틱 등 해양쓰레기 해결을 위한 논의를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서울선언문 지지에 동참한 국가는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등 38개국이며 국제기구는 도시기후리더십그룹(C40),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녹색기후기금(GCF), 세계경제포럼(WEF), 세계자원연구소(WRI),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등 9개 기구이며 개인명의로 앙헬 구리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 파티 비롤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 브루노 오벌레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사무총장 등이 참여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