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영국·호주, 3자 안보 동맹 '오커스' 발족...호주엔 핵잠수함 지원
인도태평양 지역서 대중국 포위망 구축이 실질적인 목표로 분석
한국 핵잠수함 개발과도 맞물려 주목...中 즉각 강력히 반발

<strong></div>오커스 발족 화상 기자회견하는 3국 정상 (사진=연합뉴스)</strong>
오커스 발족 화상 기자회견하는 3국 정상 (사진=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경제 분야를 넘어 군사 분야로까지 본격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미국과 영국, 호주가 중국 견제를 위해 새로운 안보동맹을 발족한 데 이어 호주에 핵추진 잠수함 보유를 지원키로 하면서 갈등이 폭발할 조짐이다. 당연히 중국은 강력 반발에 나섰다.

인도태평양을 둘러싼 '美中 신냉전' 본격화로 향후 한반도 안보도 양국간 패권다툼의 격랑에 빠질 우려가 커졌다.

15일(현지시간) 미국과 영국, 호주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새로운 3자 안보 동맹 '오커스'(AUKUS)를 발족했다고 발표했다. 또 호주에는 핵추진 잠수함 보유를 지원키로 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이날 화상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3국의 새로운 안보 파트너십인 오커스 발족을 전 세계에 알렸다.

‘오커스’는 세 나라의 첫 글자 혹은 약어를 조합해 만든 명칭이다. 호주의 AU, 영국의 UK, 미국의 US를 조합했다.

이들 3국은 기밀정보 공유동맹인 '파이브 아이즈' 회원국이며, 호주는 미국, 일본, 인도의 대중국 견제 협의체로 알려진 '쿼드'(Quad) 회원국이기도 하다.

이들 3국은 국방과 외교 정책의 고위급 교류는 물론 사이버, 인공지능, 양자 기술, 해저 능력 등 안보와 국방기술의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겉으로는 오커스 결성 이유로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꼽았다. 하지만 대중국 포위망 구축이 실질적인 목표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물론 공동성명과 기자회견에서 중국이라는 단어가 단 한 번도 언급되지 않았다.

<strong></div>지난 8월 부산항에 입항한 영국 항모 소속 핵 추진 잠수함 모습 (사진=연합)</strong>
지난 8월 부산항에 입항한 영국 항모 소속 핵 추진 잠수함 모습 (사진=연합)

특히 미국과 영국이 호주의 핵잠수함 보유를 지원키로 결정하고, 18개월간 공동 연구를 진행키로 한 부분은 중국을 직접적으로 겨냥한 조처라는 해석이다.

미국과 호주 양국의 이해관계도 맞아 떨어졌다. 미국은 자국의 잠수함을 인도태평양까지 보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최근 중국과 관계가 악화된 호주는 강력한 대응 무기를 갖게 됐다.

핵확산 우려를 의식한 듯 단서조항도 달았다. 3국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글로벌 비확산에서 리더십 유지에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고, 모리슨 호주 총리도 "우리는 핵 비확산 의무를 계속 충족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 고위당국자 역시 '극도로 민감한' 기술이라고 한 뒤 "솔직히 말해 이는 많은 측면에서 우리 정책의 예외에 해당한다"며 "이것이 앞으로 다른 상황에서 착수될 것이라고 예상하지 않는다"며 '단 한 번 있는 일'(one off)이라고 못박았다.

이같은 언급은 핵잠수함 개발 의향을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와도 맞물려 있어 주목된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김현종 당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이 미국을 방문해 한국의 핵잠수함 개발 계획을 설명하고 핵연료를 공급받고 싶다는 뜻을 전했지만 미국이 난색을 보였다는 보도도 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미국이 인도태평양 국가가 아닌 영국을 오커스에 초대한 것은 중국에 대한 안보 분야 견제를 유럽까지 확대하겠다는 의중도 내포돼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오커스 발족 소식에 중국은 강하게 반발했다.

미국 주재 중국 대사관의 류펑위 대변인은 "제3국의 이익을 해치거나 표적으로 삼는 배타적인 블록을 구축해서는 안된다"며 "특히 냉전 사고방식과 이념적 편견을 떨쳐내야 한다"고 비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