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다에 한국투자자 크게 관여한 정황 아직 없어…좀 더 지켜봐야"

<strong></div>2019년 베이징서 만난 문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strong><br>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9년 12월 23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 전 악수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2019년 베이징서 만난 문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9년 12월 23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 전 악수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연합뉴스] 한국과 중국의 정상이 문재인 정부 임기 내 각각 상대국을 방문할 가능성과 관련, 중국 주재 한국대사관 고위 관계자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관건이라고 밝혔다.

고위 관계자는 27일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의 방한 문제와 관련, "한중 외교장관회담 등에서 중국 측은 항상 (시 주석 방한을) 최우선 과제로 생각한다고 말하고 있다"며 "단, 붙는 조건은 코로나 상황의 안정"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중국 측이 (시 주석의) 방한 의지는 분명하게 확인시켜 주는데, 코로나 상황의 안정을 어느 수준으로 볼지는 지켜봐야 되지 않을까 싶다"고 부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17년 12월 재임 중 처음 중국을 방문한 데 이어 2019년 12월 한중일 3국 정상회의 참석차 두 번째로 방중했으나 코로나19 여파 속에 시 주석의 답방은 성사되지 않았다.

이 관계자는 작년 2월 이후 시 주석은 외국으로 나가지 않았고, 중국 정부는 외국 사절이 베이징에 들어오는 것을 허용한 적이 없다면서 중국 정부가 수도 베이징에 특별히 적용하고 있는 고강도 방역 조치를 변수로 꼽았다.

그는 "10월 중에는 베이징동계올림픽과 관련한 방역 가이드라인이 발표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고위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남북미 또는 남북미중 4자의 종전선언 추진 방침을 지난 21일(현지시간) 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밝히고, 북한이 남북정상회담을 거론하는 등의 최근 한반도 상황에 대한 중국 측 반응에 언급, "중국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와 한반도 비핵화를 지지하는 입장을 견지해왔기 때문에 이번에 남북 간 소통의 새로운 계기가 마련된다면 당연히 지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또 중국 부동산 대기업 헝다(恒大)의 유동성 위기와 관련, "한국 투자자가 크게 관여됐다는 정황은 아직 확인된 바 없다"며 "중국에서 영향이 있었으나 글로벌 금융시장에 눈에 띄게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닌 것 같은데 '진행형'이어서 아직은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