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이우호 기자] 더불어민주당 유력 대권 주자 이재명 후보가 '홈그라운드' 경기지역 경선에서 59.29%라는 압도적 승리를 거뒀다.
9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더불어민주당 제 20대 대선후보 경기권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는 경기 선거인단 9만5841표 가운데 5만6820표를 기록해 본선 직행을 코앞에 뒀다. 이재명 캠프는 경기 경선을 앞두고 밝힌 60%의 득표를 기록할 것이라는 자신있는 전망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낙연 후보는 30.52%(2만9248표)로 2위에 머물렀다. 그다음으로 추미애 후보는 8.75%, 박용진 후보는 1.45%를 기록했다.
총 누적 득표는 이재명 후보가 55.29%, 이낙연 후보 33.99%, 추미애 후보 9.11%, 박용진 1.61% 순이다.
현재 투표율 추세를 고려하면 이재명 후보는 10일 치러질 서울 경선과 3차 선거인단 투표에서 약 37%(약 11만 표)만 득표해도 결선 없이 본선에 직행할 것으로 보인다.
'대장동 게이트'가 정국을 강타한 가운데 위기감을 느낀 여권 지지층이 이재명 후보로 결집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이재명 후보는 이날 경선이 끝난 후 기자들에게 "대선은 1인 경기가 아니고 집단 경기다. 각자 포지션을 정해서 서로 팀으로 최선을 다하는 것"이라면서 "민주당의 사명을 지키기 위해 뛸 것"이라 강조했다.
'대장동 게이트'에 대해서는 "정치는 가짜뉴스, 일부 세력에 의해 움직여지지 않는다"면서 "유권자들은 객관적 사실과 집단지성을 믿을 것"이라 강조했다.
이낙연 후보는 "저를 지지해주신 분들에게 감사드린다"면서 "내일은 민주당의 가치와 정신으로 임하겠다"고 말했다.
'대장동 게이트'에 대한 특검 여론이 높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이전에 말씀드렸던 입장과 변함없다"라며 답변을 회피했다.
한편 내일 서울 경선을 마지막으로 민주당의 대선 후보가 최종 선출된다. 다만 이재명 후보가 과반을 넘지못하면 2위 후보와 결선투표를 거치는데 사실상 이낙연 후보가 뒤집기에는 어려워 보인다는 지적이다.
국회를 출입하면서 민주당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집권당에 대한 합리적 비판과 대안까지 생각하겠습니다.
언제나 진실·균형·정의를 추구하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지역상권법)’제정을 놓고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붙고 있습니다. 이 법은 지역상생구역이나 자율상권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스타벅스 같은 대기업 계열 점포의 출점을 제한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대상은 유통산업발전법(유통법)과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 등에 포함되지 않아 규제를 받지 않는 대기업입니다. 법안이 시행될 경우대기업이 운영하는 직영 점포의 신규 매장을 열기 위해서는 지역상인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임대료 상승에 따른 소상공인의 내몰림 현상(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막고자 마련됐습니다. 복합 쇼핑몰이 들어오면 주변 임대료가 뛰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유통업계는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과도한 중복 규제라고 반발에 나섰습니다. 또 재산권과 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데다 대기업 프랜차이즈보다 자영업체의 고용률이 낮아질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상권의 특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법안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소상공인과 대기업 모두'상생'을 이룰 수 있는정책이 절실한 때입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日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안전성 불확실” 최근 일본이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물탱크에 보관하고 있던 방사능 오염수 125만톤을 30년에 걸쳐 방류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방사성 물질 농도를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추고 천천히 방류할 것이니 상관없다고 합니다. 오염수에는 유전자 변형, 생식기능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삼중수소(트리튬)가 들어 있습니다. 삼중수소가 바다에 뿌려지면 한국 중국 등 인근 국가 수산물에 흡수돼 이를 섭취한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 스트론튬90은 극소량으로도 골육종이나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일본은 안하무인입니다. 한 고위관료는 “중국과 한국 따위에는 (비판을) 듣고 싶지 않다”고 발언했습니다. 미국은 “국제 안전 기준에 따른 것”이라며 일본에지지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작 후쿠시마 사고 이후 현재까지 사고 부근 농수산물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면서 말입니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지난해 10월 “일본의 ALPS장비 성능에 문제가 없고 오염수 방류가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보고서를 냈다고 합니다. 안심할 수 있는 안전대책, 기대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