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고궁박물관, '인사동 출토유물 공개전' 개최
발굴 현장 느낌 들도록 전시, 다양한 시각자료도 선보여

조선시대 전기 한글·한자 활자들 (사진=연합뉴스)
▲ 조선시대 전기 한글·한자 활자들 (사진=연합뉴스)


지난 6월 서울 인사동 피맛골에서 발굴된 조선시대 전기 금속활자와 과학 유물 등이 일반에 첫 공개된다. 

국립고궁박물관은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수도문물연구원과 함께 인사동 발굴 문화재를 선보이는 기획전 '인사동 출토유물 공개전'을 3일부터 12월 31일까지 연다. 

김인규 국립고궁박물관장은 2일 언론 공개회에서 "파편 한 조각을 포함해 인사동 출토 유물 전체를 보여주려고 했다"며 "발굴조사로 찾은 유물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전시 초반과 마지막을 발굴 현장처럼 꾸몄고, 관람객이 유물을 잘 이해하도록 시각자료를 풍부하게 마련했다"고 밝혔다. 

발굴조사로 수습한 조선 전기 금속활자 1632점은 1부에서 관람객과 만난다. 임진왜란 이전에 만든 금속활자는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한글 활자 소자(小字) 약 30점만 현존한다고 알려졌는데, 인사동에서는 한자 활자와 한글 활자가 모두 발견됐다.

이밖에 세종이 지시해 신숙주·박팽년 등이 1448년 편찬한 운서(韻書)인 '동국정운'(東國正韻) 표기법을 사용한 활자, 다양한 크기의 한글 활자가 확인됐다. 

조사 당시 금속활자가 담겨 있던 도기 항아리를 지나치면 금속활자가 나타난다. 박물관은 주조 시기를 확정한 활자 304자와 추가 연구가 필요한 활자 1300여 자를 구분해 전시했다.

박물관은 금속활자 304점 중 작은 한자 활자 48점은 구텐베르크가 금속활자 기술을 발명하기 전인 1434년 만든 갑인자(甲寅字), 중간 크기 한자 활자 42점은 1455년에 주조한 을해자(乙亥字), 크기가 다양한 한글 활자 214점은 1465년 제작한 을유자(乙酉字)로 분류했다. 금속활자는 보통 주조한 해의 육십갑자를 붙여 부른다.

활자 중 일부는 뒷모습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아크릴판 사이에 세워서 전시했다. 금속활자를 자세히 관찰할 수 있는 확대경과 태블릿 PC도 마련돼 있다. 

또 조선시대에 금속활자 주조를 담당한 관청인 '주자소'(鑄字所) 현판, 조선 최초 금속활자인 계미자(癸未字)부터 정조 시기 정리자(整理字)까지 금속활자 제작 연혁을 새긴 현판도 공개됐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인사동 출토 금속활자 중 '화'(火) 자와 '음'(陰) 자는 1435년 갑인자로 찍은 책인 '근사록'(近思錄)과 서체·크기가 동일하다"며 "이를 바탕으로 형태와 모양이 같은 활자 48점을 골라 전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갑인자로 추정되는 큰 한자 활자 8점에는 잘 쓰지 않는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갑인자 추정 활자와 형태가 흡사하다"며 "을해자와 을유자로 확인된 활자는 서울역사박물관이 보유한 1461년 '능엄경'과 호림박물관에 있는 1465년 '원각경'과 대조했다"고 말했다.

이밖에 과학사 분야에서는 매우 중요한 유물로 평가되는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물시계 부품인 '일전'(一箭), 휴대용 무기인 승자총통(勝字銃筒)과 소승자총통, 동종(銅鐘) 등도 전시됐다.

조선시대 주야 겸용 시계 '일성정시의'  (사진=연합뉴스)
▲ 조선시대 주야 겸용 시계 '일성정시의'  (사진=연합뉴스)

 

일성정시의는 세종 연간인 1437년 중국에서 전래한 천문시계를 소형화하고 기능을 향상한 주야 겸용 시계다. 낮에는 해의 그림자로, 밤에는 별 관측으로 시간을 측정한다.

그동안 기록으로만 전하고 실물은 없었는데 이번에 고리 부분이 출토된 것이다. 일성정시의 옆에는 박물관 소장품인 해시계 '소일영'(小日影)도 볼 수 있다. 소일영 전체가 공개되기는 처음이다.

이상백 국립고궁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일성정시의 손잡이가 구름 모양이라는 사실은 출토 유물을 통해 처음 알게 됐다"며 "소일영의 받침대에는 1726년에 영조가 지은 글이 있다"고 말했다.

일전은 경복궁 보루각 자격루 혹은 흠경각 옥루의 부품으로 추정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뚫려 있어 구슬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짐작된다. 구슬은 종, 북, 징을 쳐서 시간을 알리는 인형을 작동하게 했다. 일전의 물시계 내 위치와 작동 원리는 영상으로 볼 수 있다. 

이밖에 과학유산 외에도 조선 전기에 유통된 '조선통보' 등 금속화폐도 전시돼 있다. 

한편 국립고궁박물관은 연구자들을 위해 도록을 누리집에서 제공하고, 가상현실 콘텐츠도 제작할 계획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