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현 전 장관도 전날 발언 일부 해명 “전임 대통령이 특사로 임명될 수 없어”

지난 2018년 4월 27일 판문점 도보다리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대화를 나누고 있는 모습 ( ⓒ공동취재단)
▲ 지난 2018년 4월 27일 판문점 도보다리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대화를 나누고 있는 모습 ( ⓒ공동취재단)

대통령실은 17일 최근 북한 코로나19바이러스 확산 등과 관련해 문재인 전 대통령 대북 대통령 특사 파견 가능성 보도에 대해 “그것에 관해 아직 들어본 바 없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이 전날 라디오방송 인터뷰에서 문 전 대통령의 대북특사 가능성을 언급한 것과 관련한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구체적으로 부인도 시인도 하지 않았지만 부인 쪽에 무게가 실렸다. 

한편 정 전 장관도 전날의 자신의 문 전 대통령 대북특사 가능성 발언에 대한 언론보도와 관련해 일부 해명을 하기도 했다. 정 전 장관은 이날 오전 TBS방송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전날 방송에서) 막판에 질문을 받고 답하는 과정에서 제가 문 대통령을 대북 특사로 규정한 것처럼 돼버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이 권영세 통일부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하는 과정에 ‘문재인 대통령을 대북 특사로 활용할 용의가 있느냐’고 묻고 (이에 권 후보자가)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고 했다면서 이에 대해 (사회자가 질문했다)”면서 “그 특사라는 용어는 태영호 의원이 쓴 것”이라고 자신이 ‘특사’를 언급하진 않았다고 했다.

정 전 장관은 “전임 대통령을 현임 대통령이 특사로 임명한다는 것은 그건 있을 수가 없다. 특사라는 건 자기 부하를 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특사 가서 거둔 성과도 현직 대통령 것이 되고 특사가 가서 저지른 실수도 대통령 책임이 되는 관계”라며 전임 대통령을 특사로 임명하는데 정치적으로나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1994년 지미 카터 미국 전 대통령의 북한 방문에 대해 “그때 특사가 아니었다. 1994년에 김대중 당시 야당 총재의 권고를 받고 카터 대통령이 평양을 갔는데 클린턴 정부에서 스페셜 엔보이가 아니고, 특사가 아니고 개인 자격으로 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2009년 클린턴 대통령의 방북도 개인 자격이었다고 얘기했다.

정 전 장관은 문 전 대통령의 역할에 대해선 “특사가 아니고 뭐 조정자 내지는 교량 역할. 그러니까 문재인 대통령 앞으로 미국과 북한 사이, 또는 북핵문제 해결 과정에서 북한과 미국의 입장 차이를 좀 좁힐 수 있는 그런 역할을 할 수 있는데 그건 특사는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조정자 내지는 교량 역할을 하는 걸로 이렇게 기대를 해야 한다”며 “윤석열 대통령이 문재인 전 대통령을 특사로 임명할 수도 없고, 또 바이든 대통령이 남의 나라 전임 대통령을 특사로 임명할 수도 없지 않나?”라고 말했다.

즉 문 전 대통령이 역할을 해야 할 경우 ‘특사’가 아니라 현직 대통령과의 협의하에 개인자격으로 방북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