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국회 정무위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 제공
▲ 출처=국회 정무위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 제공

[폴리뉴스 정주희 기자] 최근 5년간 국내 은행 지점 1100곳 이상이 문을 닫고 지점 대신 운영인력이 3분의 1 수준인 출장소로 전환한 사례가 350건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이 공공성을 배제하고 금융 소외계층의 서비스 권리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 요청해 받은 자료 ‘국내 은행 지점 폐쇄 및 출장소 전환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폐쇄된 국내 은행 지점이 1112개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폐쇄된 지점수를 연도별로 보면, △2017년 340개 △2018년 74개 △2019년 94개 △2020년 216개 △2021년 209개 △올해 8월까지는 179개다. 

은행별로 보면, 하나은행이 285개(25.6%)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신한은행 188개(16.9%), 우리은행 157개(14.1%), 국민은행 151개(13.6%), 씨티은행 88개(7.9%) 등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473개(42.5%)로 가장 많았다. △경기도 227개(20.4%) △부산 74개(6.7%) △경남 63개(5.7%) △인천 51개(4.6%) 은행 지점이 문을 닫았다. 폐쇄된 지점 소재지의 수도권 비중은 67.5%에 달했다.

금융감독원은 국내 은행들의 지점 폐쇄 증가 이유에 대해 “인터넷 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거래 증가와 중복점포 정리 확대 등이 주된 사유”라고 답했다. 

금감원은 은행 지점 폐쇄에 대한 비판 여론을 고려해 지난 3월부터 ‘사전영향평가’를 의무화했다. 은행들이 점포 폐쇄를 결정하기 전 폐쇄로 인해 고객에 미칠 영향과 수단 여부 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은행들이 지점 폐쇄 대신 출장소로 전환하는 사례는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총 357개다.

지점을 출장소로 가장 많이 전환한 은행은 국민은행으로 148개(41.5%)였다. 대구은행이 44개, 신한은행이 35개 등으로 뒤를 이었다. 

지점은 출장소 대비 운영 인력이 3배 이상 차이가 난다. KB국민은행의 지난해 기준 은행 지점의 평균 운영인력은 11.9명이지만 출장소의 평균 운영인력은 3.8명으로, 지점 인력의 3분의 1 수준이었다.

강민국 의원은 “점포 폐쇄가 은행의 자율적인 경영사항이라고는 하지만 적자도 아닌 은행이 비대면 거래 증가만을 이유로 점포를 폐쇄하는 것은 공공성을 배제한 채 금융소외계층이나 노약자의 금융 서비스 권리를 무시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은행의 점포 폐쇄 현황을 반기별로 대외적으로 발표해 금융소비자에게 알리고, 금융당국의 은행 지역재투자 평가 시 점포 감소에 대한 감점 부과 폭을 확대하는 식으로 금융 접근성을 확보하게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