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용 전기요금 월 인상 적정폭 ‘1000~1250원47.7%-1250~1500원18.4%-1750~2000원12.9%’

[출처=리얼미터]
▲ [출처=리얼미터]

<리얼미터>가 윤석열 정부의 원전 비숭 확대에 대한 국민 의견을 조사한 결과 과반 이상이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9월 26~27일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원전 비중을 확대하기로 한 것에 대해 ‘찬성한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40.7%(매우 찬성 26.2%, 찬성하는 편 14.6%)였고 ‘반대한다’는 응답은 51.4%(반대하는 편 14.4%, 매우 반대 36.9%)로 전반적으로 반대 의견이 높았다.

다만, 이미 원전 발전소가 운영중인 영남 지역에서는 원전 비중 확대에 찬성하는 의견이 많았음. 영남 지역 주민들이 원전 가동 등으로 지역 일자리 창출, 지방세 세수 등 지역경제 역할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정부가 태양광, 풍력 재생에너지 정책을 강화하는 것에 대해서는 ‘찬성한다’는 응답자는 10명 중 6명인 64.0%(매우 찬성 40.3%, 찬성하는 편 23.7%), ‘반대한다’는 응답자의 비율은 31.0%(반대하는 편 13.3%, 매우 반대 17.8%)로 찬성 응답이 우세했다.

일상생활에서 기후변화를 체감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기후변화를 체감한다는 응답이 70.7%로 국민 10명 중 7명은 기후변화를 느끼고 있다고 조사됨. 기후변화를 체감하지 못한다는 응답은 29.3%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를 체감한다고 답한 응답자 중 어떤 요인이 기후변화를 체감하는지에는 ‘폭염과 폭우 등 이상기후’ 라는 응답이 62.4%로 대다수가 이상기후를 꼽음. 이어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심화’(9.3%), ‘석유·가스 등 에너지가격 폭등’(8.9%), ‘새로운 질병 증가’(8.7%), ‘해수면 상승·어종 변화’(5.5%), ‘사과·감귤 등 재배지 북상’(3.8%) 순으로 나타남.

정부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시급 과제로는, ‘저탄소 에너지정책 조속 전환’을 가장 높게 꼽음. 이어 ‘정부·지자체의 제도 개선과 필요성 강조’(22.0%), ‘기업 친환경 경영 노력 강화’(19.7%), ‘저탄소 생활 실천방안 수립 및 홍보’(11.7%), ‘언론 통한 탄소중립사회 필요성 및 시급성 강조’(7.5%) 순이었다.

재생에너지 강화 찬성 응답자 중 저탄소생활 실천을 위해 전기요금 재생에너지 발전기금을 부과한 가정에 인증마크 부여 및 일정 혜택을 제공하는 재생에너지 사용운동 정책에 대해 ‘참여 의향 있다’는 응답은 71.9%(매우 참여 의향 있음 30.2%, 어느 정도 참여 의향 있음 41.6%), ‘참여 의향 없다’는 응답은 23.0%(별로 참여 의향 없음 10.7%, 전혀 참여 의향 없음 12.3%)였다.

재생에너지사용 운동 참여 의향자 중 정부가 전기요금에 재생에너지 발전기금을 부과하는 것에 얼마 정도까지 받아들일 수 있는 지에 대해, ‘월 500원~1000원 미만’이라는 비율이 32.9%, ‘월 1000원~3000원 미만’이라는 응답은 25.0%로 조사됨. 이어 ‘월 500원 미만’(18.4%), ‘월 3000~5000원 미만’(10.8%), ‘월 5000~1만원 미만’(7.6%), ‘월 1만원 이상(3.1%) 이 뒤를 이었다.

에너기가격 폭등으로 한전의 재무개선 등을 위한 일반적인 전기요금 인상의 경우 ‘안된다’는 응답이 48.2%로, ‘필요하다’는 응답 40.9%보다 오차범위 밖인 7.3%포인트 높았다.

만약 가정용 전기요금을 인상할 경우 월 인상 적정 폭 질문에는 ‘월 1000~1250원 미만’이라는 비율이 47.7%로 가장 많았다. 최근 물가·금리 상승 등으로 전기요금이 인상되더라도 적은 인상폭을 바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어 ‘월 1250~1500원 미만’(18.4%), ‘월 1750~2000원 미만’(12.9%), ‘월 1500~1750원 미만’(7.5%) 순이었다.

기후변화 대응으로 전기요금이 올라 이를 반영해 기업들이 제품 가격을 올린다면 수긍하겠는지에 대한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은 40.5%(매우 그렇다 8.0%, 그렇다 32.5%), ‘아니다’라는 응답자의 비율은 53.2%(아니다 26.1%, 매우 아니다 27.1%)로 조사됨. ‘잘 모르겠다’고 답한 비율은 6.3%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 9월 26일, 27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응답률은 2.8%였고 무선(90%)·유선(10%) 무작위 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