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莊子) 외물(外物)편에 나오는 이야기다. 장자가 먹을 게 없어 '감하후'에게 식량을 빌리러 갔다.(莊周家貧, 故往貸粟於監河侯) 감하후가 말했다. "내가 세금을 받으면 그대에게 황금 300냥을 빌려주겠다, 어떠냐?(諾. 我將得邑金, 將貸子三百金, 可乎)" 장자가 화를 내며 얼굴을 붉혔다.(莊周忿然作色曰) "어제 여기 오는 중에... 마른 수레바퀴 자국에 붕어가 헐떡이고 있길래(周顧視, 車轍中有부魚焉)...내가 묻기를(周問之曰) 붕어야! 너는 뭐하는 놈이냐?(涸魚來! 子何爲者邪)" 붕어가 답하기를 "동해에서 파도를 관장하는 신하입니다. 조금이라도 좋으니 선생께서 여기에 물을 부어 저를 살려주시겠습니까?(我, 東海之波臣也. 君豈有斗升之水而活我哉)" 장자가 답했다. "좋다~ 내가 남쪽에 있는 오나라와 월나라의 왕을 설득해서 서강의 물을 끌어와 붕어 당신에게 부어주겠소 어떻소?(諾. 我且南遊吳越之土, 激西江之水而迎子, 可乎)" 붕어가 화를 내며 얼굴을 붉혔다(涸魚忿然作色曰). "내 목숨을 보존할 수 없겠구나. 나는 물이 조금만 있어도 살 수 있는데... 차라리 건어물집에 가서 나를 찾으라...(吾失我常與, 我無所處. 吾得斗升之水然活耳, 君乃言此, 曾不如早索我於…
[폴리뉴스=홍정열 기자] 배용태 전라남도 전 행정부지사가 오는 6월 1일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영암군수 출마를 공식화 했다. 배 전 부지사는 24일 영암군의회에서 비대면 출마 선언을 하고 “100년의 미래를 여는 신영암 군정을 실현하겠다“며 출마 의사를 이같이 밝혔다. 그는 “예산 1조원 시대를 만들겠다”며 군민의 소득 증대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배 전 부지사는 군정 최우선 목표를 ‘군민 소득 증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산업구조의 편중과 높은 인구 감소율 등이 영암의 상대적 낙후 이유라고 설명했다. 예산 1조원 시대, 군민 소득 증대 실현을 위해 ‘관광’과 ‘산업’을 꼽았다. 영암발전 전략으로는 월출산·영산강 등 천혜의 관광문화자원을 활용한 ‘체류형 관광단지’를 조성하겠다고 했다. 이와 함께 4차산업혁명시대 산업변화에 맞춰 영암을 ‘전남 서남권 신산업지대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배 전 부지사는 ‘미래 100년 영암’을 견인할 구상도 담아냈다. △관광문화스포츠산업 집중 육성 △그린바이오·해양항공레저·신재생에너지 등 비교우위 특화산업단지를 강력히 조성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어 △1읍면 1명품 농수축산물 인증제 도입…
[폴리뉴스=홍정열 기자] 전남 무안군의회 김대현 의장이 오는 6월 치러지는 무안군수 선거에 출마를 선언했다. 김 의장은 13일 무안군의회에서 자신의 유튜브 채널로 생중계된 ‘김대현 TV’를 통해 “뼈를 깎는 혁신만이 무안을 바꿀 수 있다”며 출마 의사를 이같이 밝혔다. 김 의장은 이날 10대 공약을 제시했다. 그가 제시한 공약은 △연간예산 1조원·인구 10만명 시대 구현 △농촌의 6차 산업 실현 △해양시대 개척 △남악·오룡지역 교육문화특구 육성 △행정조직 효율적 정비 △문화관광 1번지 구현 △정주여건 조성 △인공지능(AI)단지 조성 및 4차 산업 선도 △항공물류 거점기지 구축 △청년수당 지급 및 청년 일자리 창출 등을 약속했다. 그는 무안군을 ‘원도심권, 농업권, 해양권, 산업권’ 등 4개 권역으로 나눠 발전 프로젝트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김대현 의장은 초선으로 무안군의회 제8대 후반기 의장을 맡고 있다. 홍정열 기자 hongpen@polinews.co.kr
[폴리뉴스=홍정열 기자] 전남 무안군은 30일 2022년 1월 1일자 인사를 단행했다. 4급 승진은 2명으로 강명수 자치행정과장, 이숙아 주민생활과장이 각각 서기관으로 승진했다. 승진 규모는 80명으로 일반승진 79명, 근속승진 1명이다. ◇ 4급 서기관 승진(2명) ▲기획실장 강명수 ▲무안읍장 이숙아 ◇ 5급 사무관 승진(8명) ▲의회사무과 전문위원 박철우 ▲현경면장 김형배 ▲망운면장 김기영 ▲사회복지과장 오정미 ▲해제면장 김진순 ▲건설교통과장 정부성 ▲지역개발과장 최기후 ▲몽탄면장 임승철 ◇지도관 승진 ▲농업기술센터 축산과장 주병률 ◇ 5급 사무관 전보(8명) ▲조수정 미래성장과장 ▲이기회 자치행정과장 ▲김도완 세무회계과장 ▲박윤수 주민생활과장 ▲박홍양 해양수산과장 ▲박기수 무안생태갯벌사업소장 ▲함경훈 의회사무과장 ▲이혜향 청계면장 홍정열 기자 hongpen@polinews.co.kr
[폴리뉴스=홍정열 기자] 도휘에드가 그룹은 지난 2일 SM그룹 우방과 서울지역 청년주택(사업비 1,688억원) 신축공사 도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서울지역 5개 역세권에 들어설 청년주택은 총 1,901세대다. 전남 무안 남악신도시에 본사를 둔 에드가는 청년주택 5개소 건립을 위해 총 5,0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한다. 이 사업은 지역경제 활성화 및 주거 수요가 많은 역세권에 공공 및 민간임대주택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락산역을 중심으로 길음·화계·회기·개봉역과 인접한 노후 된 지역이 재건축에 포함된다. 청년주택 5개소는 수락산역세권·노원구 상계동(지상 23층·443가구), 길음역세권·성북구 하월곡동(26층·415가구), 화계역세권·강북구 수유동(26층·426가구), 회기역세권·동대문 휘경동(19층·349가구), 개봉역세권·구로구 개봉동(20층·268가구)이다. 이들 5개소는 내년 1월 착공, 2025년 5월 준공할 예정이다. 조현철 도휘에드가 회장은 “청년주택 사업을 할 수 있어 보람을 느낀다”며 “앞으로 새로운 개념의 청년주택 건설 공급을 위해 계속 연구하겠다”고 약속했다. 우호현 SM그룹 회장은 “앞으로 신혼부부는 물론 자녀까지 함께…
[폴리뉴스=홍정열 기자] 내년에 치러질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안군의원 정원이 1명 더 증원된다. 이에 따라 ‘나’선거구 삼향읍이 ‘다’선거구로 획정될지 관심사가 뜨겁다. 전남도는 지난 10월 22일 시군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도내 선거구별 인구수에 따른 선거구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무안군의원도 비례대표 1명을 포함, 8명에서 9명으로 증가한다. 무안군은 2개의 선거구를 두고 있다. 무안·현경·망운·해제·운남→‘가’선거구, 일로·삼향·몽탄·청계→‘나’선거구로 분류된다. 의원수가 증가될구역은 ‘나’선거구다. 무안군과 의회는 위원회의 ‘나’선거구 의결안에 찬성하는 입장이지만, 남악주민들 대다수는 떨떠름한 표정이다. 인구증가 추세를 감안할 때 반색할 내심은 아니라는 것이다. 올 10월 말 기준 무안군 인구는 9만488명이다. 이중 남악신도시를 포함하는 삼향읍은 무안군 전체 인구의 43.9%인 3만9699명이다. 인구가 밀집한 남악지구 또한 3만4309명으로 무안 전체 인구 37.9%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듯 인구 비중에 따라 삼향읍을 ‘다’선거구로 분리하자는 여론이 비등하다. 실효성 있는 획정안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에…
[폴리뉴스=홍정열 기자] 전남 영암선거관리위원회는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임대현 전 감사관을 불러 조사했다. 영암선관위는 1일 피켓홍보를 벌인 임 전 감사관에 대해 사전선거운동 혐의로 조사했다고 밝혔다. 지역 관계자에 따르면 임 전 감사관은 최근 지인들과 함께 독천시장 입구에서 이재명 민주당 대통령 경선 후보 피켓을 들고 당내 선거운동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임 전 감사관의 행위를 두고 일각에선 공직선거법 90조 위반 소지가 있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이재명 후보 캠프에서도 개인의 사진, 이름이 명시된 피켓 선거운동은 금하라는 지침이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임 전 감사관은 내년 지방선거 영암군수 후보군 중 한명으로 거론된다. 영암선관위는 “사실관계를 확인 중에 있다”며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기 곤란하다”고 했다. 임 전 감사관은 “피켓을 든 인원은 3~4명이다”며 “피의사실 공표죄가 있기에 의사결정이 될 때까지는 (언론에서) 참아주는 게 예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피켓 홍보에 대해서는 “선관위에 물어보라. 경선이 진행되고 있기에 선거법에 걸기 어렵다”며 이같이 해명했다. 홍정열 기자 hongpen@polinews.co.kr
[폴리뉴스=홍정열 기자] 전남도 감사관실이 무안군에 대한 강도 높은 감사를 예고하고 나섰다. 14일 전남도 관계자에 따르면 감사관실은 이날 오후 무안군 세무회계과 계약부서(경리팀)에 2018년 8월부터 현재까지 공사와 관련된 계약서류 일체를 빠짐없이 제출할 것을 통보했다. 이는 김산 군수 취임(2018.7.1.) 이후 업체와 계약된 특혜성 관련 여부를 세밀히 들여다보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폴리뉴스는 13일 <무안군 관급자재 물품계약 ’특혜의혹 파장‘>이란 제목으로 특정업체 일감몰아주기 의혹에 대해 단독 보도한 바 있다. 김산 군수 취임 후 A업체는 2년 넘게 42건의 납품과 공사·용역 등 약 14억원이 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업체는 조경공사와 철물, 창호, 조형물시설 등이 주업종인 것으로 알려졌다. 홍정열 기자 hongpen@polinews.co.kr
[폴리뉴스=홍정열 기자] 전남 무안군이 조달청에 등록된 특정업체에 관급자재 물품계약 수십 건을 밀어줘 특혜 의혹에 휩싸였다. 13일 군 홈페이지 계약정보시스템에 등록된 자료에 따르면 목포시 대양산단에 소재한 건설사 A업체는 2015년 11월 30일 이후 무안군과 총 56건의 물품계약을 체결했다. 금액으로는 총 17억8900만원이 넘는다. 여기에 공사와 용역까지 합하면 18억4000만원을 웃돈다. 특히 김산 군수 취임 이후 2018년 10월 25일부터 올해 9월 2일까지 42건의 계약이 이 업체에 집중됐다. 금액은 13억4800여만원에 달한다. 이런 추세라면 군수 임기 말까지 약 20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무안군의 업체 몰아주기는 상식밖 행정능력을 넘어 아예 납득이 안 될 정도다. 2019년 5월에만 무려 5건, 한 달에 2건 이상 계약이 체결된 것도 수두룩하다. 조경공사와 철물, 창호, 조형물 시설 등이 주업종인 이 업체는 2019년부터 매년 10건 이상의 사업을 수주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누군가의 뒷배경 없인 불가능하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무안군은 이 업체를 밀어주기 위해 같은 사업의 물품 구분을 분리 발주하는 등 갖은 편법을 동원했다는 의
[폴리뉴스=홍정열 기자] 내년에 치러질 전남 무안군 더불어민주당 군수출마 경선 후보군 윤곽이 드러나면서 지역민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후보군들 대부분은 민주당 소속 당원들로 이뤄져 지역적 정치성향이 짙다는 분석과 함께 8명 군의원 중 3명이 출마를 공식화하면서 권리당원들 사이 갈등 증폭의 원인을 우려하는 시각도 만만찮다. 최근 지역정가와 민주당 지역위원회에 따르면 지방선거 출마 예상자는 모두 5명이다. 여기에 출마를 고사하고 있는 2명을 포함하면 총 7명이 자천타천 입방아에 오르내린다. 출마 예상자는 재선을 노리는 김산 군수, 현 군수에 도전장을 내민 김대현 현 군의장, 이정운 전 의장, 강병국 군의원, 최옥수 전 산림조합장 등이 1차 후보군으로 분류된다. 2차 후보군은 나광국 도의원과 김찬일 민주당(신안·무안·영암) 지역위원회 사무국장이다. 따라서 두 사람 출마를 점치는 분위기가 예사롭지 않다. 김산 군수는 현직이라는 이점과 탄탄한 조직력을 바탕으로 재선에 도전하겠다는 각오다. 그동안 군정수행의 경험과 폭넓은 인지도를 내세워 선거에서 유리한 국면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김대현 의장은 패기력을 바탕으로 젊은 층의 표심을 끓어 안을…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지역상권법)’제정을 놓고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붙고 있습니다. 이 법은 지역상생구역이나 자율상권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스타벅스 같은 대기업 계열 점포의 출점을 제한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대상은 유통산업발전법(유통법)과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 등에 포함되지 않아 규제를 받지 않는 대기업입니다. 법안이 시행될 경우대기업이 운영하는 직영 점포의 신규 매장을 열기 위해서는 지역상인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임대료 상승에 따른 소상공인의 내몰림 현상(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막고자 마련됐습니다. 복합 쇼핑몰이 들어오면 주변 임대료가 뛰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유통업계는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과도한 중복 규제라고 반발에 나섰습니다. 또 재산권과 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데다 대기업 프랜차이즈보다 자영업체의 고용률이 낮아질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상권의 특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법안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소상공인과 대기업 모두'상생'을 이룰 수 있는정책이 절실한 때입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日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안전성 불확실” 최근 일본이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물탱크에 보관하고 있던 방사능 오염수 125만톤을 30년에 걸쳐 방류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방사성 물질 농도를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추고 천천히 방류할 것이니 상관없다고 합니다. 오염수에는 유전자 변형, 생식기능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삼중수소(트리튬)가 들어 있습니다. 삼중수소가 바다에 뿌려지면 한국 중국 등 인근 국가 수산물에 흡수돼 이를 섭취한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 스트론튬90은 극소량으로도 골육종이나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일본은 안하무인입니다. 한 고위관료는 “중국과 한국 따위에는 (비판을) 듣고 싶지 않다”고 발언했습니다. 미국은 “국제 안전 기준에 따른 것”이라며 일본에지지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작 후쿠시마 사고 이후 현재까지 사고 부근 농수산물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면서 말입니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지난해 10월 “일본의 ALPS장비 성능에 문제가 없고 오염수 방류가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보고서를 냈다고 합니다. 안심할 수 있는 안전대책, 기대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