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일부 당권주자들의 ‘2·27 전당대회 보이콧’ 압박에도 불구하고 지도부는 11일 전대 일정 연기 ‘불가’ 입장을 재확인했다.
현재 일부 당권주자들은 2차 북미정상회담과 시기가 겹치는 것을 이유로 전대를 2주 이상 연기할 것을 요구하며 자신들의 주장이 수용되지 않을 경우 전대를 ‘보이콧’하겠다고 압박하고 있다.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회의에서 “북핵 문제가 하나도 해결된 게 없는 상황에 우리가 기민하게 대처해야 할 막중한 책임이 있기 때문에 회담 결과가 나오기 전에 전열을 가다듬어야 한다”며 “전당대회는 미북정상회담의 결과가 나오기 전인 27일에 예정대로 치르는 게 옳다”고 밝혔다.
박관용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개최한 직후 기자들과 만나 “결정을 두 번 하는 경우는 없으며, 일정 연기를 재고한다는 등의 얘기는 없었다”고 전했다.
박 위원장은 일부 당권주자들이 전대 연기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전대를 보이콧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 “전당대회 보이콧을 하는 것은 그 사람들의 사정이지 우리와 관계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박 위원장은 한 언론과의 통화에서는 “당 일각에서 원칙을 깨고 끝까지 전당대회를 연기하자고 하면 선관위원장직을 사퇴할 것”이라며 “전당대회는 어떤 이유로도 변경한 역사가 없다”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출마할 사람들이 다 합의해 놓고는 당의 가장 중요한 행사인 전당대회의 일정을 연기하자고 하면 국민으로부터 어떻게 신뢰를 받느냐”고 주장했다.
전날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홍준표 전 대표, 심재철·안상수·정우택·주호영 의원 등 6명은 전당대회 일정을 2주 이상 연기하지 않을 경우 12일 예정된 후보 등록을 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들은 이틀째 당권행보 관련 일정을 전면 취소하고 비대위에 압박을 계속했다.
현재 당권주자 가운데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김진태 의원만 당의 결정을 따르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이번 전대가 ‘반쪽’으로 치러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홍준표 전 대표는 이날 결국 “끝까지 함께 하지 못해 유감”이라며 전대 불출마를 선언했다.
황교안 전 총리는 이날 부산에서 기자들과 만나 “여러 번 이야기했지만, 당에서 결정할 것이고 당 방침을 따르겠다”며 “전당대회는 당원 마음을 모으는 축제로 모두가 협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진태 의원은 한국당 제주도당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전대는) 당에서 정한 날짜에 따라야 한다”며 “일정 연기가 불가능하다는 건 당연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을 총괄 취재하고 있습니다.
쉽고 재밌는 정치 기사를 추구합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최근 국내 은행과 금융권에서는 핀테크랩 운영이 한창이다. 핀테크(금융에 IT 기술 접목) 스타트업에 무료 업무공간을 제공하고 투자자를 연계하는 등의 지원은 물론 디지털 금융 서비스도 함께 개발한다. 현재 금융권에는 7개의 핀테크랩이 존재한다. KB금융그룹의 ‘KB이노베이션허브’ KB금융과 스타트업이 핀테크 기술과 오픈소스를 연구하고 협업하는 공간이다. 지난해 말까지 업무제휴 79건, KB금융 계열사 투자 134억 원 연계라는 성과를 냈다.KB이노베이션허브가 육성하는 핀테크 스타트업 ‘KB스타터스’도 59개사에 달한다. KB스타터스로 선정된 간편결제 스타트업 ‘페이민트’는 최근 국민은행과 업무협약을 맺고 제로페이 사업에 참여했다. KEB하나은행의 ‘원큐애자일랩’ 지난 2015년 6월 은행권 최초로 탄생한 핀테크 스타트업 멘토링 센터다. 지난해 10월까지 54개 핀테크 기업을 발굴 및 육성했다.하나은행의 AI서비스 ‘하이뱅킹’은 원큐애자일랩 4기 ‘마인즈랩’의 인공지능(AI) 자연어 처리기술을 은행 플랫폼에 적용해 대화형 금융서비스를 구현한 사례다. 우리은행의 ‘위비핀테크랩’ 지난 2016년 8월부터 17개 혁신벤처기업을 육성했다. 외부
[폴리뉴스 김기율 기자] 지상 최대 가전·IT쇼인 CES 2019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오는 8일부터 11일까지(현지시각) 나흘간 진행됩니다. CES(Consumer Electronics Show)는 지난 1967년 미국 뉴욕에서 제1회 대회가 열린 이후 최근 가전업계뿐만 아니라 IT, 자동차 등으로 영역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번 CES에서 현대차는 미래 모빌리티 비전과 전략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또 걸어다니는 자동차 ‘엘리베이트 콘셉트카’의 축소형 모델이 실제로 움직이는 모습을 선보입니다. 기아차는 자동차와 운전자가 교감하는 ‘실시간 감정반응 차량제어(READ) 시스템’을 제시합니다.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자동차가 인식해 실시간으로 실내 공간을 최적화하는 기술입니다.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소개합니다. 완전 자율주행 모드에서 탑승자가 허공에 그린 손짓을 인식하는 ‘가상공간 터치’ 기술과 유리창 디스플레이 등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탑승자의 움직임으로 특정 기능을 작동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된 ‘더 뉴 벤츠 CLA’를 세계 최초 공개합니다. 또 교통체증과 과밀 현상을 해소하는 새 모빌리티 콘셉트인 비전 어바네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