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문턱 낮춰 첨단기술 기업 육성...IPO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신금투 “중국 정부, 신성장 기업들 금융 지원 루트로 활용할 것”

 이후이만 증권감독관리위원회 주석(장관급), 류허 부총리, 리창 상하이시 당서기 등 중국 고위 당국자들이 13일 상하이 푸둥 샹그릴라 호텔에서 열린 과학창업판 개장식에서 개장 버튼을 누르고 박수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후이만 증권감독관리위원회 주석(장관급), 류허 부총리, 리창 상하이시 당서기 등 중국 고위 당국자들이 13일 상하이 푸둥 샹그릴라 호텔에서 열린 과학창업판 개장식에서 개장 버튼을 누르고 박수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임지현 기자] 중국 정부가 기술·창업주 주식 전문 시장인 과학창업판(중국명 커촹반[科創板])을 개장하면서 자본시장 선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류허 부총리, 리창 상하이시 당서기, 이후이만 증권감독관리위원회 주석은 13일 상하이 푸둥 샹그릴라 호텔에서 열린 제11회 루자쭈이포럼에서 과학창업판의 정식 운영을 선언했다.

과학창업판은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추가로 설치된 기술창업주 전문 시장으로 시진핑 국가주석이 지난해 11월 중국국제수입박람회 기조연설에서 미국의 나스닥 같은 기술창업주 전문 시장을 개설하겠다고 밝히면서 처음 거론됐다.

이 주식시장에서는 IPO 허가제가 아닌 등록제가 적용돼 거래소 조건에만 부합하면 상장 신청 후 6~9개월 만에 상장할 수 있다. 또 기존 중국 증시에서는 적자 기업이 상장할 수 없지만 과학창업판에서는 적자 기업도 상장 가능하다. 사업성이 높은 기술 기업들을 육성하고자 상장 문턱을 대폭 낮춘 것이다. 

투자자 보호를 위한 장치도 존재한다.

엄격한 상장폐지 제도를 도입해 규제 완화 영향으로 부실기업이 난무할 가능성을 줄였다. 중국 정부는 기존의 ‘잠정적인 상장 정지 및 재상장 제도’를 없앴다.

또 최소 투자금액을 50만 위안으로 설정해 ‘개미 투자자’의 참여를 막고 기관 투자가와 전문 투자가 중심으로 운영하게 했다. 실적이 안정적이지 않은 기업들이 상장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에 취약한 투자자들이 들어설 수 있는 문을 좁힌 것이다.

중국의 과학창업판 출범 배경에는 미국과의 갈등이 일조했다는 분석이다.

미국이 중국의 정부 주도 차세대 기술 육성 방식을 불공정한 산업 정책으로 지목해 정부의 직접 보조금 지급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새 증시 출범으로 자본시장을 통한 우회적인 방식으로 차세대 유망 기업에 자금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체계가 갖춰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더불어 주식시장의 제도적인 한계로 다수의 우수 기업들이 해외상장을 선택하고 있다는 점도 반영한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과거 3대 기술 기업인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를 비롯해 징둥닷컴, 샤오미, 핀둬둬 등 중국의 유망 기술기업들은 모두 미국이나 홍콩 증시에서 상장했다.

한편 이날 과학창업판 개장식은 사전 예고 없이 개최돼 금융시장에서는 예상보다 빠른 개장이라는 분위기다. 시 주석의 과학창업판 개설 공개 이후 단 7개월 만의 개장이다.

이를 두고 중국 금융 당국이 첨단 기업 육성 제도 개선으로 미중 무역 전쟁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자본시장 선진화와 개혁의 모습을 대외적으로 과시하기 위한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중국의 새 증시 출범을 국내 IB업계도 주시하고 있는 분위기다.

신한금융투자 최원석 연구원은 “상장 대기 중인 기업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정부가 육성 의지를 내비친 과학기술혁신 기업으로 지난주까지 총 117개 기업이 IPO 신청 서류를 제출했고 이 중 IT 업종이 42%, 헬스케어가 22%를 차지해 신성장 산업 비중이 64%에 달한다”며 “정부는 향후 커촹반 증시를 신성장 기업들의 금융 지원 루트로 활용할 전망이다”이라고 밝혔다. 

이어 “향후 정부 육성 산업에 속한 기업들의 상장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커촹반 기업 대표 IPO 주관사인 중신건투, 중신증권, CICC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NH투자증권 박인금·장재영 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산업에 속한 다수 기업들이 커촹반을 통해 상장할 것”이라며 “IPO 강점을 가진 증권사와 우수한 비상장사에 대해 직간접적으로 지분을 보유한 PE운용사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장기적으로 커촹반은 CDR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도 있어 CDR 발행 시 해외에 상장한 우수 기업에 대한 시장 관심도 확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거래소가 정식 출범했지만 첫 기업 상장까지는 조금 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황훙위안 상하이증권거래소 이사장은 “향후 2개월 이내에 첫 과학창업판 상장 종목이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힌 바 있다.

과학창업판 운영 주체인 상하이증권거래소는 최근 상장심사위원회를 열고 웨이신생물, 안지과학기술, 톈준과학기술 등 6개사의 상장 신청에 동의했다.

중국 정부는 과학창업판 개장을 계기로 대어급 기업들이 상장을 미국, 홍콩 증시가 아닌 중국  본토에서 하도록 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