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장수 “당 밖에 통합당을 장악해서 컨트롤하려는 발주처가 있다”
김능구 “통합당 그대로 스탠스 조절하고 정책과 인물 바꿔서 대선 승리 한다고 생각하면 망상”
홍형식 “지지자들에게 발목 잡혀 있는 통합당, 지지자 관리 중요 문제”
차재원 “외연 확장 위해 과거사 문제에 대해선 선을 긋고 가자는 것”

폴리뉴스 사무실에서 미래통합당의 혁신과 전망에 대한 좌담회가 열렸다. <사진=이은재 기자>
▲ 폴리뉴스 사무실에서 미래통합당의 혁신과 전망에 대한 좌담회가 열렸다. <사진=이은재 기자>

<폴리뉴스>와 월간 <폴리피플>은 20일 폴리뉴스 회의실에서 5월 폴리 좌담회를 열고 미래통합당과 보수혁신의 길에 대해 논했다. 김만흠 정치 아카데미 원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 날 좌담회에는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 차재원 부산가톨릭대학교 특임교수, 황장수 미래경영연구소장, 그리고 본지 김능구 대표가 패널 토론자로 참석했다.

패널들은 김종인 비대위 체제, 주호영 원내대표의 리더십, 5·18에 대한 사과 등을 언급하면서 미래통합당이 변화해 보수 혁신의 주체가 될수 있을 지에 대해 전망했다.

황장수 소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입장에서 보면, 순탄하게 갈 수밖에 없다. 주호영이라는 사람이 정치적 소신이나 비전을 갖춘 사람이 아니고, 야당이 외주화됐기 때문”이라며 “당 밖에 통합당을 장악해서 적당히 컨트롤하려는 발주처가 있다. 그 흐름에 거역하는 강성 친박들은 거진 공천에서 제거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황 소장은 “홍준표의 복당은 힘들 것이며, 다음 대선에선 무난하게 나와서 무난하게 질 사람이 대선 후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며 “김종인이 대표로 오고 임기도 적절히 조절될 것이며, 자체적으로 뭔가 결정하기 어려운 옛날의 민한당화(化)가 이뤄져 여당의 2중대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능구 대표는 “김종인 비대위 체제를 받아들이되, 시기 조정이 연말이나 내년 연초이냐가 중요한 것”이라며 “자강론에 기반한 조기전대론은 설득력이 없고, 전당대회는 내년 초에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김 대표는 “이번 총선에서 유권자들의 정치 지형의 변화는 분명 있었다. 과거에는 보수가 10%정도 많았기에 김대중·노무현 대통령은 갖은 수를 쓰고도 신승했는데 그땐 보수로 기울어진 운동장이었다”면서 “지금은 보수가 정말 잘하더라도 이기기 어려운 정치 지형으로 바뀌었다. 통합당이 (그대로)  약간만 스탠스 조절하고 정책과 인물 바꿔서 된다고 생각하면 망상”이라고 지적했다.

홍형식 소장은 21대 국회 전반적 전망에 대해 “20대 때보다 21대에서 긍정적인 조사결과가 나올 것이다. 첫째로, 청와대 출신자들이 많이 당선돼서 국정방향의 목표에 대해서는 다 공유하고 있다. 차기 주자와의 관계도 대통령 지지율이 높기에 현직 대통령과 대립적 관계로 가지 않을 것”이라며 “여야 관계는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주호영 원내대표가 보수가 지켜야 할 것을 20~30%정도 지켜내면서 나머지는 협상하는 전략으로 갈 것이다. 그렇기에 여야 관계도 초기에는 극한대립을 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 소장은 이어 “지금의 미래통합당은 혁신 동력과 변화의 에너지가 굉장히 약하다. 주 원내대표가 5.18 기념식에 간 것은 큰 변화이지만, 저것이 통합당 기저에 깔린 전체적인 변화를 대변하는지는 잘 모르겠다”면서 “지지자들에게 발목 잡혀 있는 통합당이 향후 지지자들의 반응을 살피고 어떻게 관리하느냐도 상당히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차 교수는 주 원내대표의 5.18 기념식 방문을 두고 “보수 혁신을 위한 첫 단추를 거기서 끼워야 한다고 생각한 것 같다”며 “중도 외연 확장을 위해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는 분명히 선을 긋고 가야 된다는 생각이 당내를 지배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차 교수는 “미래통합당이라는 당 자체의 프레임을 깨고 나간다면 새로운 하나의 변화는 만들어질 것인데, 성사 여부는 반반으로 본다”며 “김종인 체제가 비상 대권 형식으로 당을 좌지우지 할 수 있는 정도의 정치적 공감은 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능구 대표는 “미래통합당이라 불리는 보수정당이 이명박, 박근혜 정부 이후에 우경화돼서 그렇지 한나라당 시절에는 상당수 의원들이 자기 정체성을 얘기할 때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끈 정당이라고 표현했다”며 “다만 이제는 새로운 혁신을 추구하기에는 초선, 개혁세력 이런 틀이 너무 약하다. 합리적 보수세력이 참여하기를 꺼려하고 있다. 새로운 보수세력을 담을 새 그릇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