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신임 한국은행 총재가 21일 “대전환의 기로에 선 한국경제 발전을 위해 경제정책 프레임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신임 총재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성장과 물가 간 상충관계가 통화정책 운용을 더욱 제약하고 있는 상황이기에 정교하게 균형을 잡아가며 정책을 운용해야 할 때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이제는 민간 주도로 보다 창의적이고 질적인 성장을 도모해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소수의 산업과 국가로 집중된 수출과 공급망도 다변화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은도 통화‧금융 정책을 넘어 당면한 문제를 연구해 우리 경제의 올바른 방향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힘을 보태야 한다”며 “경제여건이 어려워질수록 중앙은행의 역할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신기술 확보 경쟁, 지정학적 경제 블록화 등으로 국가간 갈등이 심화되고 정치·경제·안보 등이 연계돼 국제정세가 더 복잡해질 것"이라며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가 도약할 수 있을지, 고령화와 생산성 저하 추세가 이어지면서 장기 저성장 국면으로 빠져들게 될지 예측하기 어려운 시기"라고 전망했다.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로는 양극화와 가계·정부 부채를 꼽았다. 그는 "전세계에서 소득 불평등이 확대되고 있고 우리는 인구고령화, 청년 실업과 노인 빈곤, 지역간 불균형도 커진다며 "지나친 양극화는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어 이에 대한 해결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또 하나의 문제는 가계와 정부 부채가 빠르게 늘고 있다는 것"이라며 "고령화로 복지 수요가 늘어날수록 경제성장에 쓸 재정 여력은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이어 "부채 확대가 거품 붕괴로 이어질 경우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해결을 위해선 통화정책과 함께 재정정책과 구조개혁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한은 직원들의 처우 개선도 약속했다. 그는 “개개인의 동기부여와 조직의 성과를 위해서는 일에 대한 사명감이나 보람 못지않게 인사·조직 운영이나 급여 등의 만족도도 중요하다”면서 “예산이나 제도 등 여러 제약들로 인해 첫 술에 배부를 수는 없겠지만 하나둘씩 근무 여건을 개선하고 사기를 진작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자”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임명장을 받고 오후 공식 취임했다. 임기는 2026년 4월 20일까지 4년이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